왜관 가실성당

Korea Martyrs Shrine 한국의 순교 성지

왜관 가실성당

관리자 0 9496 0
 간략설명 순교자의 집터 위에 세워진 경상북도 선교의 요람
 지번주소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낙산리 614 
 도로주소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가실1길 1
 전화번호 (054)976-1102
 팩스번호 (054)977-7020
 홈페이지 http://www.gasil.kr
 전자메일 gasil@catholic.or.kr
3232235521_c7MpHoN1_750c51f97b60bac9bdd9919d19155f21fbee1218.gif 문화정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48호(성당과 구 사제관)
3232235521_VMr3n8oB_5c4c56df58d1ace22859a5b66e959ee7ab9acfa3.JPG

투르뇌 신부가 1920년대 초 건립한 벽돌조 성당. 경상북도에서 가장 오래된 성당 건물로 2003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48호로 지정되었다.가실(佳室) 본당은 경북 지역 초기 본당 중의 하나로 대구대교구 소속이며 설립일은 1895년이다. 초창기의 이름은 가실 본당으로 후에 행정구역명을 따라 낙산(洛山) 본당으로 개명되었다가 다시 가실 본당으로 변경되었다. 주보는 성녀 안나이다.

본당 설립과 정착  박해가 끝난 뒤 경상도 지방의 전담 신부로 임명된 로베르(Robert, 金保祿) 신부가 신나무골(지천면 연화리)에 거주하다가 1887년 대구 인근의 새방골[新坊谷]로 이주한 뒤, 신나무골에는 그의 보좌인 보두네(Baudounet, 尹沙勿) 신부와 조조(Jozeau, 趙得夏) 신부가 한때 거처하다가 각각 전주와 부산으로 부임하였다.

그 뒤를 이어 1894년에 입국한 파이야스(Pailhasse, 河敬朝) 가밀로 신부는 그 해 6월 신나무골에 와서 머물며 경상도 북부 지방을 맡아 전교하였으며, 9월경 가실(佳室, 왜관읍 낙산동 蘆湖)로 이주, 김회두(金會斗, 베드로) 소유의 기와집 한 채를 매입하여 성당으로 삼고 전교를 시작하였다. 당시 파이야스 신부가 담당한 전교 지역은 칠곡을 비롯하여 성주, 선산, 문경, 상주, 함창, 군위, 안동, 예천, 의성, 김천, 거창, 안의 등 경상도 북서부 일대와 충청도 황간, 전라도 무주 등지였으며, 공소는 17개소. 신자수는 777명이었다. 파이야스 신부는 이후 1898년 6월까지 이곳에서 전교하다가 황해도 장연의 두섭[道習] 본당으로 전임되고, 제2대 본당 주임으로 김성학(金聖學) 알릭스 신부가 부임, 3년 간 전교 활동을 하다가 1901년 김천 본당을 분리 설립하면서 그곳으로 이임하였다.

김 신부의 뒤를 이어 가실에 부임한 신부는 3대 즈와요(Joyau, 玉裕雅) 알퐁소 신부였는데, 그는 1903년에 성당을 증축하는 한편 사제관을 신축하였으며, 전교 활동에 노력하여 부임 당시 800여 명이던 신자수를 1,400명 정도로 증가시켰다. 그러던 중 나병에 걸려 1907년 1월 12일 30세의 젊은 나이로 병사하고 말았다.

성당과 함께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48호로 지정된 구 사제관. 현재는 유물관으로 사용하고 있다.이에 조선교구장을 맡고 있던 뮈텔(Mutel, 閔德孝) 주교는 이해 초에 입국한 소세(Saucet, 蘇世德) 히폴리토 신부를 제4대 본당 신부로 임명하였고, 그는 5월에 가실로 부임하였다. 이후 가실 본당은 1911년 4월 서울교구에서 대구교구가 분리 설정됨에 따라 새 교구 소속이 되었으며, 소세 신부는 이 해 7월 3일 대구 계산동 본당의 로베르 신부가 치료차 프랑스로 출국하자마자 계산동 본당의 보좌로 임명되어 가실을 떠나 대구로 이임하였다. 그렇지만 계산동 본당의 신자들뿐만 아니라 가실 본당의 신자들도 계속 방문하였으며, 그러다가 1912년 5월 전라도 일대에서 사목하던 투르뇌(Tourneux, 呂東宣) 빅토리노 신부가 제5대 주임으로 임명되었다.

분할과 변모  투르뇌 신부는 1912년 5월 29일 가실 본당에 부임한 뒤 1924년 몇 개월 동안 임시로 교구 당가를 겸임함으로써 델랑드(Deslandes, 南大榮) 루이 신부에게 잠시 가실 본당을 맡긴 외에는 1944년 3월 지병으로 사망하기까지 일제 시대 대부분을 이곳 신자들과 함께 생활하였으며, 일제 치하의 어려움 속에서도 전교 활동에 노력하여 교세를 크게 확장시켰다. 그러나 1922년에는 문경의 점촌(店村) 본당과 상주의 퇴강(退江) 본당 분할로 김천 본당과 함께 관할 구역이 축소되었고, 게다가 신자들이 대구로 이전하면서 신자수가 줄게 되었다. 이후 그는 신자들과 함께 성당과 사제관을 건립하여 1925년 9월 28일에는 드망즈(Demange, 安世華) 주교가 참석한 가운데 교황 사절 지아르디니(Giardini)의 집전으로 성당 축성식을 거행하였다.

성당 내부.이와 함께 투르뇌 신부는 왜관(倭館) 지역의 전교에 힘써 1928년 2월부터 공소 신자들과 함께 성당 건축을 시작, 11월에 이를 준공하고 다음해 5월에는 왜관 본당을 분리하였다. 세 번째의 자본당인 왜관 본당의 설립은 가실 본당의 위축을 가져오게 되었다. 왜관은 새 중심지로 발전하는 추세에 있었지만 가실은 시골 본당에 지나지 않게 되었고, 이에 드망즈 주교는 1933년 가실 본당을 노사제들을 위한 휴양 본당으로 설정하였다. 또 투르뇌 신부가 1935년부터 베르트랑(J. Bertrand, 韓聖年) 줄리앙 신부를 대신하여 자주 교구 당가 일을 보면서 본당 일이 종종 소홀해지게 되었다. 그러다가 그는 1943년 2월 지병으로 은퇴하여 주교관에서 휴양하던 중 사망하였다.

투르뇌 신부가 은퇴하면서 제6대 주임으로 부임한 사람은 마산에 있던 베르몽(Bermond, 睦世永) 줄리앙 신부였는데, 이때부터 ‘가실 본당’은 ‘낙산 본당’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1945년 3월 일제 총독부가 외국인 선교사들을 대구 남산 본당에 감금했으므로 4월 13일자로 이명우(李明雨) 야고보 신부가 왜관 본당에 부임, 낙산 본당의 제7대 주임 신부를 겸하였다. 이때부터 해방, 6 · 25 동란을 전후하여 본당의 주임 신부는 자주 교체되었으며, 한때는 왜관 본당 주임이 낙산 본당 주임을 겸하기도 하였다.

성당 제대. 우측의 성녀 안나상은 본당 주보로 1924년 이전에 프랑스에서 제작되어 수입된 것으로 한국에서는 유일한 안나상이다.즉 베르트랑 신부가 다시 제8대 주임으로 부임(1945. 8)하였다가 부산 청학동 본당으로 이임(1946. 1)하면서 진주 장재리(長在里) 본당에 있던 안국목(安國牧) 마가리노 신부가 제9대 주임으로 부임하였고, 안 신부가 경주 본당으로 전임(1947. 6)되면서 계산동 본당 보좌였던 신상조(申相祚) 스테파노 신부가 제10대 주임으로 부임하였다. 그리고 신 신부가 1년 만에 다시 계산동 본당 보좌로 전임(1948. 6)되고, 함양 본당에 있던 김영제(金永濟) 요한 신부가 왜관 본당에 부임하여 낙산 본당의 주임을 겸하다가 낙산 본당 주임으로 임명(1949. 10)되었다. 이어 김 신부가 밀양 본당으로 전임(1951. 4)되고, 밀양에 있던 류선이(柳善伊) 요셉 신부가 제12대 주임으로 부임하였다.

낙산 본당은 이후 1952년 6월, 왜관 감목 대리구가 설정되면서 이에 속하게 되었다. 동시에 류 신부가 구마산 본당으로 전임되고, 베네딕도회의 최영호(崔榮浩) 비안네 신부가 제13대 주임으로 부임하였다가 1953년 11월, 점촌 본당으로 이임하였다. 이때 본당의 제14대 주임으로 임명된 사람은 휴전 후 재입국한 베네딕도회의 뮐러(A. Muller, 모안세) 안스가리오 신부였으며, 동시에 새로 서품된 김성동(金聖道, 모이세) 신부가 초대 보좌로 임명되었다.

1995년 본당 설립 100주년 기념사업으로 건립한 성모동굴.뮐러 신부 재임시에 본당의 활동은 매우 활발하였는데, 그 예로는 1954년 12월 8일에 개최한 본당 설정 60주년 행사, 이듬해 6월 12일 본당 최초로 실시한 성체 거동 행사를 들 수 있다. 또 이때부터 본당은 주임 신부의 이동이 적은 탓에 안정을 가져오게 되었고, 1970년대 초까지 약 1,300여 명의 신자수를 기록하였다. 그 결과 제18대 주임 이동식(李東植) 베네딕도 신부 재임기인 1968년 9월 성체회 분원을 설립했다가 1970년 8월에 이를 철수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 이후 농촌 인구의 도시 이주 현상이 심해지면서 젊은 층 신자들이 크게 줄어드는 동시에 신자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1980년대 이후에는 600-700명의 교세만을 유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자연히 본당 신자들의 활동이 위축되어 왔고, 활동 단체도 줄어들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자들은 1986년 1월 레지오 마리애를 도입하는 등 신심 활동을 활성화하는 데 노력하였고, 소공동체 활동과 친교에도 힘쓰게 되었다. 이후 본당은 1986년 2월 28일, 왜관 감목 대리구의 폐지로 대구대교구 소속 본당으로 변경되었으며, 1990년 10월 설립 100주년 기념관을 건립하였다.

본당 설립 100주년을 맞아 성당 정문 앞에 봉헌한 순교자 성순교 가문 신앙유적비.본당 설립 100주년을 넘어서  성당 정면 마당에는 1995년 본당 설립 100주년을 맞아 봉헌한 ‘순교자 성순교가문의 신앙유적비’(成舜敎家門 信仰遺蹟碑)가 세워져 있다. 이는 가실 성당 자리가 본래 경신박해 때 가실을 떠나 상주로 피난 갔다가 체포되어 1861년 상주에서 순교한 성순교의 기와집이 있던 곳이기 때문이다. 성순교는 창녕 성씨 집안의 실학자 성성섭의 증손자로 추사 김정희와는 막역한 친구 사이였다. 그는 젊은 시절 사신을 따라 청나라에 갔다가 홀로 남아 세계 일주를 했는데, 이스라엘까지 다녀왔다는 행장(行狀)이 남아 있다. 상주로 가기 전 성순교는 가실 집을 외가에 맡겼는데, 주인이 순교하자 집은 주인을 잃어 버렸다. 1894년 신나무골에서 가실로 옮겨 온 파이야스 신부가 이를 매입해 첫 번째 가실 성당으로 사용하였다.

투르뇌 신부는 1922-1924년 사이에 현재의 신 로마네스크식 벽돌조 성당을 건립했다. 설계는 명동 성당과 대구 계산 성당을 지은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 프와넬(Poisnel, 朴道行) 신부가 담당했다. 프와넬 신부는 중국 기술자들에게 벽돌을 한 장씩 굽도록 하여 잘 구워진 것은 성당을 짓는데, 중간치는 사제관을 짓는데, 품질이 나쁜 것은 버렸다고 한다. 당시의 유물과 유산은 현재 옛 사제관 내 유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유물관에는 공의회 이전까지 성당 제대 위에서 사용하던 십자가와 감실, 중앙 제대 왼쪽과 오른쪽에 설치돼 있던 성모성심 제대와 예수성심 제대의 감실, 촛대 등도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또 본당 설립 초창기 신자들의 교적은 물론 대구교구 초대교구장 드망즈 주교의 친필 공문 제1호 등 교회사의 중요한 사료도 고스란히 남아 있다. 본당이 한창 번성하던 1960년대 신자들 교육용으로 사용하던 환등기(전기가 없던 시절 등불을 이용해 그림을 볼 수 있는 독일식 환등기), 밍크본이란 화가가 1930년대에 그린 43장의 성서 그림, 미사주를 채즙하던 포도 착즙기, 성체를 만들던 숯 제빵기 등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본당의 은인을 기억하고자 2011년 교구 설정 100주년을 맞아 스승예수공원에 설치한 예수상.가실 성당은 한국전쟁 당시 북한군의 침략을 받는 아픔을 겪었지만 다행히 병원으로 사용하는 바람에 훼손되지 않아 옛 유물과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성당 제대 한쪽에 위치한 ‘성녀 안나상’은 본당의 주보성인이기도 하지만 1924년 이전에 프랑스에서 제작되어 수입된 것으로 한국에서는 유일하다.

1995년 본당 설립 100주년 기념사업으로 현재의 성모동굴을 건립했고, 2000년 대희년을 맞아 오랜 역사와 어우러진 성물들을 새롭게 제작했다. 동양화가 손석희가 그린 십자가의 길 14처와 독일의 유명한 색유리작가 에기노 바이너트(Egino Weinert)가 제작한 유리화가 2002년에 설치되었다. 성당을 감싸듯 10개의 창문에 설치되어 고유의 색을 뿜어내는 유리화의 주제는 ‘예수님의 삶’이다. 삼왕의 경배부터 호숫가에 나타나신 예수님까지 총 40가지의 이야기가 그려져 있다.

대구대교구에서 대구 본당(현 계산 주교좌성당)에 이은 두 번째이자 경상북도에서 가장 오래된 성당 건물인 가실 성당은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근대 건축사와 교회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옛 사제관과 함께 2003년 4월 14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48호로 지정되었다. 대구대교구는 2005년 2월 2일자 공문을 통해 낙산 본당의 이름을 옛 이름인 가실 본당으로 다시 변경하였다. 가실 본당은 설립 당시 ‘아름다운 집’(佳室)이라는 마을 이름을 따 ‘가실 본당’으로 정했지만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낙산(洛山) 본당’으로 변경되어 사용되어 왔었다. 2011년 7월에는 16년이나 늦었지만 더 많은 자료와 증언을 토대로 교구 설정 100주년의 해에 맞춰 가실 성당의 역사를 담은 “가실(낙산) 성당 100년사”를 출판하였다. [출처 : 차기진, 한국가톨릭대사전 제2권 & 관련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편집(최종수정 2014년 11월 17일)]

성당 옆모습.독일의 색유리작가 에기노 바이너트가 제작한 성당 유리화 중 하나로 씨 뿌리는 사람의 비유를 표현한 것이다.

천주교에 대한 박해가 끝난 1894년 신나무골에서 경상도 북부 지방 선교를 담당하던 파이야스 신부는 가실(佳室)로 이주하여 순교자 성순교가 살던 기와집을 매입하여 가실 성당을 설립했습니다. 1912년 부임한 투르뇌 신부는 1944년 지병으로 사망하기까지 가실 본당 신자들과 함께 생활하며 일제 치하의 어려움 속에서도 전교 활동에 노력하여 교세를 크게 확장시켰습니다. 또한 성당과 사제관을 건립하여 1925년 9월 드망즈 주교가 참석한 가운데 교황 사절 지아르디니의 집전으로 축성식을 거행했습니다.

투르뇌 신부는 1922-1924년 사이에 현재의 신 로마네스크식 벽돌조 성당을 건립했는데, 설계는 명동 성당과 대구 계산 성당을 지은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 프와넬 신부가 담당했습니다. 프와넬 신부는 중국 기술자들에게 벽돌을 한 장씩 굽도록 하여 잘 구워진 것은 성당을 짓는데, 중간치는 사제관을 짓는데, 품질이 나쁜 것은 버렸다고 합니다. 당시의 유물과 유산은 현재 유물관(구 사제관)에 보존되어 있습니다.

1970년대 중반 이후 도시화와 탈농촌 현상으로 신자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어려움 속에서도 1990년 본당 설립 100주년 기념관을 건립하였고, 성모동굴과 교육관을 마련하고 순교자 성순교 가문의 신앙 유적비를 세워 1995년 100주년을 맞아 봉헌했습니다. 2000년 대희년을 맞아 동양화가 손석희가 그린 십자가의 길 14처와 독일의 유명한 색유리 작가 에기노 바이너트가 제작한 유리화를 2002년에 설치했습니다. 10개의 창문에 설치된 유리화의 주제는 ‘예수님의 삶’입니다.

대구대교구에서 현 계산 주교좌성당에 이은 두 번째이자 경상북도에서 가장 오래된 성당 건물인 가실 성당은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근대 건축사와 교회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옛 사제관과 함께 2003년 4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48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대구대교구는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폐합에 의해 낙산 본당으로 변경된 본당명을 2005년 2월 본래의 가실 본당으로 다시 변경했습니다. 2011년 7월에는 16년이나 늦었지만 충분한 자료를 토대로 “가실(낙산) 성당 100년사”를 출판했습니다.
미사시간
미사구분 요일 시간 기타사항
주일미사 07:00  
10:00  교중미사
평일미사 20:00  동절기 19:30
06:30  
20:00  동절기 19:30
06:30  
20:00  특전미사, 동절기 19:30


* 미사시간이 변동될 수 있으니 성지나 관련기관으로 전화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

0 Comments
Category
글이 없습니다.
State
  • 현재 접속자 21 명
  • 오늘 방문자 2,503 명
  • 어제 방문자 3,134 명
  • 최대 방문자 5,379 명
  • 전체 방문자 1,599,106 명
  • 전체 게시물 1,336 개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