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 배론성지
관리자
원주
0
10840
0
2017.01.31 23:23
|
|
심산유곡(深山幽谷),
계곡이 깊어 배 밑 바닥 같다고 하여 '배론'이라 불린다. 충북 제천군 봉양면 구학 2리, 백운산(해발 1,087m)과 구학산(해발 985m)
연봉 사이로 십여 리를 들어간 곳에는 계곡만큼이나 깊은 신앙의 터가 펼쳐진다.
한국의 카타콤바라 할 만큼 풍성한 신앙의 유산을 지닌 배론은 우선 그 경관이 수려하다.
배론 입구에 위치한, 경치 좋기로 유명한 원주 - 제천 간의 탁사정(濯사亭)은 배론이 자랑하는 절경 가운데 하나이다.
하지만 수려한 자연도 배론이 안고 있는 신앙의 유산에 견준다면 그 빛을 잃는다. 배론의
옹기 토굴에서는 명주 자락에 1만 3천 3백 84자로 울분과 신심을 기록한 '황사영 백서'가 쓰여졌고, 바로 옆의 초가에서는 이 땅 최초의
서구식 대학인 신학당이 섰으며, 김대건 신부에 이어 한국인으로는 두 번째 신부였던 최양업 신부가 이곳 배론에 묻혀 있는
것이다.
한 가지만으로도 가히 현양의 가치가 충분한 신앙 유산들이 몰려 있는 배론이야말로 최적의
순례지로 추천할 만하다. 더욱이 사통팔달(四通八達)로 편리한 교통과 피정센터를 비롯한 쾌적한 편의 시설들은 순례를 위해 '엄숙한 마음가짐'
외에는 다른 준비물이 필요 없을 정도이다.
그
옛날 교우들은 박해를 피해 산으로 계곡으로 깊이 숨어들어야 했다. 그들 중 일부가 모여들어 교우촌을 이룬 곳이 바로 배론이다. 졸지에 재산과
집을 잃고 가족과 생이별을 한 교우들이 깊은 산 속에서 가장 손쉽게 할 수 있는 것이 옹기 굽는 일이었다.
옹기구이는 생계를 유지하는 수단이기도 하지만 감시의 눈을 피해 토굴 속에서 신앙을
지키는 데 안성맞춤이기도 했다. 또 구워 낸 옹기를 머리에 이거나 등에 지고 나서면 아무 집이나 허물없이 드나들 수 있어 잃은 가족을
수소문하거나 교회 소식을 전하는 데에도 편리했다.
사람의 눈을 피해 신앙을 지켜 가던 옹기 마을에 최초로 역사적 사건이 터진 것이 바로
황사영 백서 사건이다. 창원(昌原) 황씨 성을 가진 사영은 나이 16세에 장원급제, 정조가 친히 등용을 약조할 만큼 앞길이 창창했던 인물이다.
하지만 정약종으로부터 천주학을 전해 듣고는 알렉시오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 벼슬길을 마다하고 고난의 길을 택한 그는 1801년 신유박해가
터짐과 동시에 서울을 빠져 나와 배론으로 숨어든다.
그 해 8월 주 신부의 처형 소식을 들은 그는 낙심과 의분으로 북경 구베아 주교에게
보내는 탄원서를 적는다. 하지만 백서를 품고 가던 황심이 붙잡히고 황사영도 대역무도 죄인으로 능지 처참의 극형에 처해진다. 이 때가 그의 나이
27세. 이 사건으로 그의 홀어머니는 거제도로, 부인은 제주도로, 외아들 경헌은 추자도로 각각 유배되고 십수 명이 공범으로
처단된다.
백서의
원본은 근 1백여 년 동안 의금부 창고 속에 숨겨져 있다가 1894년에야 비로소 빛을 본다. 뮈텔 주교는 1925년 한국 순교자 79위 시복식
때 이를 교황 비오 11세에게 봉정했고, 현재 백서는 바티칸 박물관 내 선교민속 박물관에 소장 · 전시되어 있다.
배론의 두 번째 신앙 유산은 1855년 설립된 최초의 신학교이다. 깊은 산골 장주기의
집에 세워진 신학당에는 학생 열 명에 두 신부가 있었다. 그로부터 11년 후 1866년 병인박해로 인해 배론에서도 집주인이었던 장주기와 두
선교사 신부가 잡혀가 형장의 이슬이 됐다. 그리고 목자 잃은 양 떼처럼 신학당 역시 폐쇄되고 만다. 신학당은 1978년 복원된 후 2001년
3월 2일 배론 성지 일대가 충청북도 기념물 제118호로 지정된 후 2003년 재복원되었다.
배론이 안고 있는 또 하나의 귀중한 유산은 최양업 신부의 묘소이다. 한국 최초의 방인
신부인 김대건 신부보다 4년 늦게 사제품을 받고 12년간 조국에서 사목 활동을 하던 최 신부는 피로와 무리한 활동에 지쳐 쓰러져 이곳 배론의
신학당 뒷산에 묻힌 것이다. 혹자는 김대건 신부를 '피의 순교자'라 부르고 최양업 신부를 '땀의 순교자'라고 일컬을 만큼 최 신부의 업적에 대한
높은 평가가 새롭게 이루어지고 있다.
배론
성지는 1999년 최양업 신부 서품 150주년을 기념하고 시복 시성을 기원하기 위해 '최양업 신부 기념성당'을 건립하였는데, 그 모양이 마치
노아의 방주를 연상케 한다. 또한 대성당과 소성당 두 동으로 건립된 기념성당은 성지 주변 골짜기가 배 밑바닥처럼 생겼다 하여 '배론'이라 불려온
지명과 어울리도록 배 모양으로 만들어졌다.
2002년 10월에는 성지 초입에 순례자들의 집을 봉헌하여 성지를 찾는 신자들의 식당과
교육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2004년 11월에는 대성당 뒤편에 땀의 순교자인 최양업 신부의 거룩한 삶의 여정을 한 눈에 보고 묵상함과
동시에 산 이와 죽은 이가 한 자리에서 만나 기도할 수 있는 '최양업 신부 조각공원'을 조성해 봉헌하였다. 조각공원 내에는 고 탁희성 화백의
작품을 오석에 새긴 30개의 조각 작품으로 최양업 신부의 일대기를 담고 있고, 그 내부는 납골 봉안소로 사용하고 있다.
2005년 7월 건축된 지 30여 년이 지난 순교자들의 집을 새단장하여 축복식을
가졌다. 이곳에서는 최대 100명까지 단체로 피정을 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다. 그 해 9월에는 황사영 순교 현양탑 앞에 황사영 알렉시오
동상을 세웠다. 그리고 2010년 9월에는 신자들에게 문화와 영성을 교육하고 교구 교회사와 영성을 기록 · 보관 · 연구함으로써 교회와 지역사회
문화 발전에 기틀이 될 '문화영성연구소'를 설립하여 축복식을 가졌다.
수려한
자연, 풍부한 신앙 유산 그리고 편리한 교통과 시설로 배론은 최적의 성지 순례 여건을 갖추고 있어 한 번쯤 온 가족이 함께 찾아볼 만한
곳이다.
또 한 가지 기억할 만한 것으로, 원주에서 제천 쪽으로 가는 길에 있는 용소막 성당은
배론 순례길에 반드시 들러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용소막 성당에는 성서학자인 고(故) 선종완 신부 기념 유물관이 있고 여기에는 선 신부의
유품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성서와 자료들이 풍성해 한 번 둘러보는 것만으로도 유익할 것이다. [출처 : 주평국, 하늘에서 땅 끝까지 -
향내나는 그분들의 발자국을 따라서, 가톨릭출판사, 1996, 내용 일부 수정 및 추가(최종수정 2014년 11월
12일)]
배론과 황사영의
백서
충북 제천군 봉양면 구학리의 백운산(白雲山)과 구학산(九鶴山) 줄기에 둘러싸인 벽촌.
이제 신자들에게 익숙해진 '배론(舟論) 성지'가 자리잡고 있는 곳이다. 배론이란 명칭은 이곳 골짜기의 형상이 배 바닥처럼 깊고 길게 뻗어 있다는
데서 붙여졌다.
옛날
이 부근에는 아랫배론, 중땀배론, 윗배론, 점촌배론, 박달나무골, 미륵재 등 6개 동리가 자리잡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 교우촌이 있던 곳은 바로
점촌배론이었다. 이 점촌배론의 본래 이름은 '팔송정의 도점촌(陶店村)'으로, 1791년 신해박해 이후 충청도 남부에서 피신해 온 신자들이
옹기점을 운영하여 생계를 유지하면서 부르게 된 이름이었다. 그후 박해가 끝나고 다시 이곳에 돌아온 신자들은 1890년대에 와서
'사학(邪學)쟁이들의 옹기점'이라는 기억 때문에 전교 활동에 지장을 받을까 염려하여 마을 이름을 바꾸어 주도록 관계 당국에 요청하였고, 이
요청이 받아들여져 '구학리 배론'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곳으로 가는 길은 두 갈래가 있다. 원주에서 가자면 동쪽으로 치악산 줄기의 끝자락에
연결되어 있는 가라피 고개를 넘어가야 하는데, 그 왼편에는 중앙선의 유명한 또아리굴이 있다. 또 남쪽으로 가자면 온갖 설화로 얽혀 있는 박달재를
넘어야 한다. 바로 이 두 고개처럼 배론 성지는 한국 천주교회사와 관련하여 길고 긴 고난의 여정을 넘나든 곳이었다.
배론 사적지가 갖고 있는 특징은, 첫째 그 복음사가 한국 천주교회와 함께 오랫동안
지속되어 오고 있는 점이고, 둘째 다른 사적지와는 달리 여러 사적과 복음사의 애환들을 함께 간직해 온 곳이라는 점이다. 다시 말해 가장 일찍
교우촌이 형성된 곳이요, 유명한 황사영(알렉시오)의 "백서"(帛書)가 탄생한 곳이며, 한국 최초의 신학교인 '성 요셉 신학교'가 자리잡았던
곳이다. 또 최양업 신부의 시신이 안장되어 있는 곳이고, 1866년의 병인박해 때 여러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순교사가 시작된 요람지이기도
하다.
배론 교우촌에 대한 기록은 1801년의 신유박해 때부터 나타난다. 이 박해로 많은
교우들이 체포되고 유일한 목자 주문모(야고보) 신부가 순교하는 것을 본 황사영은, 그 해 2월 말에 서울을 떠나 경상도와 강원도를 거쳐 이곳으로
숨어들게 되었다. 그때 이곳에서 옹기점을 운영하고 있던 교우 김귀동이 그를 받아들여 옹기점 뒤에 토굴을 파고 그의 은신처를 마련해 주었다. 현재
배론에 조성되어 있는 토굴은 이러한 사실을 근거로 최근에 다시 조성한 것이다.
황사영은
이후 토굴에 은거하여 자신이 겪은 사실들과 김한빈(베드로), 황심(토마스) 등이 알아 오는 박해 내용들을 세명주에 적어 나갔다. 이것이 '명주에
담은 신심', 곧 "백서"로, 122행, 13,384자에 달하는 장문의 서한 형태의 글이다. 그 내용은, 박해의 원인과 "백서"의 작성 이유를
기록한 첫 부분, 신유박해의 전말과 순교자들의 행적을 기록한 둘째 부분, 교회의 재건과 신앙의 자유를 얻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 셋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황사영은 이 서한을 북경의 구베아(Gouvea, 湯士選) 주교에게 전달한 계획이었다.
그러나 하느님의 섭리는 달리 결정되고 말았다. 북경 주교는 조선 교회의 소식을 듣기
위해 간절하게 밀사들을 기다렸지만 하루하루가 헛수고였다. "백서"를 북경 주교에게 전달할 책임을 맡은 밀사 옥천희(요한)과 황심이 9월에
체포되었고, 얼마 뒤에는 황사영도 배론에서 체포되고 만 것이다. 오히려 "백서"는 박해자들의 손으로 넘어갔고, 그렇게도 신앙의 자유를 고대하던
황사영은 1801년 11월 5일(음력) 서소문 밖에서 능지처참 형을 받고 순교자의 반열에 오르게 되었다.
만일 할 수만 있다면, 병선 수백 척에 정병(精兵) 5-6만, 대포 등 날카롭고 강한
병기를 많이 싣고, 겸하여 글을 잘하고 사리에 밝은 중국 선비 3-4명을 데리고 오십시오. 그리고 이 나라의 해안에 정박하여 국왕에게 글을 보내
선교를 용인하고 우호 조약을 체결하도록 요구하십시오. 그리고 국왕에게 '한 사람의 선교사를 받아들여 온 나라가 화를 입지 않도록 하라.'고
요청하십시오(황사영의 "백서", 110-111행 중에서).
이처럼 황사영은 무력을 통한 선교의 자유를 갈망하면서도 우호 조약 체결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그것은 '신앙이냐? 모반이나?'의 갈림길에서 방황해야만 했던 조선의 신앙인이요 지식인으로서의 고뇌였다. 그러나 이러한 고뇌도 민족사의
입장에서 본다면 결코 용납될 수 없는 것이었으며, 비록 전근대적인 민족의식에서 본다고 할지라도 결코 수긍할 수 없는 내용이었다. 훗날
다블뤼(Daveluy, 安敦伊) 주교가 '하느님의 종'을 선택하면서 황사영을 제외시킨 것도 이 때문이었다. 그렇다고 그의 신심과 순교 자체까지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출처 : 차기진, 사목, 1999년 7월호]
배론 신학교와 순교의 요람지 백서 사건이 있은 후에도 배론 교우촌은 신분을 속이면서 신앙을 지킨 신자들 때문에 계속
유지되어 나갈 수 있었다. 그러다가 1855년 무렵부터 다시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였으니, 바로 그 해 이곳 교우촌에 '성 요셉 신학교'가
설립되었기 때문이다.
당신 조선교구의 장상 역할을 하고 있던 파리 외방 전교회의 매스트르(Maistre,
李) 신부는 신학교 설립을 결정한 뒤 배론의 회장인 장주기(요셉)가 제공한 세 칸짜리 초가집에 학생들을 받아들이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그것은
초라하기 이를 데 없었다. 처음의 학생수는 6명에 불과했고, 교재도 변변치 않았으며, 방 하나를 교실 겸 숙소로, 다른 방 하나를 신부의 거처로
사용해야만 하는 아주 열악한 환경이었다.
감옥, 즉 신학교 역할을 하는 오두막집에 8년 간 갇혀 있었기 때문에 내 건강이 완전히
악화되었습니다. 그러나 어찌 할 수가 없습니다. 학생들과 나는 방 두 개밖에 가지고 있지 못합니다. 이 두 방이 형편없이 잘 닫히지 않는
칸막이로 나누어져 있어서 공기와 발산하는 냄새가 이 방에서 저 방으로 조금도 어렵지 않게 침투합니다. 이번 겨울에 나는 발진티푸스에 걸렸었는데
학생들에게 옮겨 주어서 차례차례로 앓고 있습니다(푸르티에 신부의 1865년 11월 20일자 서한 중에서).
게다가
주변에는 언제나 박해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었다. 그러므로 학교 옆으로 지나가는 외교인이 들을까봐 소리를 내서 글을 읽을 수조차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조선의 선교사들은 한국인 성직자 양성을 위해 신학교를 존속시키고자 했으며, 1856년에 교장으로 임명된 푸르티에(Pourthie,
申) 신부와 교사 프티니콜라(Petitnicolas, 朴) 신부는 아주 열성적으로 신학생들을 가르쳤다.
배론 신학교는 이후 꾸준히 발전하였다. 신학생 중에서는 임 빈첸시오가 1864년에
소품을 받았고, 이 바울리노가 삭발례를 받았으니, 더 있었으면 이 땅에서 사제가 탄생하는 기쁨을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 결실을 얼을
수는 없었다. 1866년에 시작된 병인박해의 회오리가 이곳에도 몰아쳤기 때문이다. 이때 푸르티에 신부는 배론이 궁벽한 곳이었으므로 당장에
포졸들이 쳐들어오리라고는 생각지도 못했다. 게다가 그는 각혈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도피할 형편도 아니었다.
3월 2일, 포도청에서 파견된 포졸들이 푸르티에 교장 신부와 프티니콜라 신부를
체포하였다. 그러면서 신학교도 자연히 폐쇄되고 말았다. 다음날 아침, 포졸들은 체포한 이들을 앞세우고 서울로 떠났다. 보통 배론에서 서울까지는
3일이 걸리는데 극도로 쇠약해진 푸르티에 신부가 있었기 때문에 더 많은 날이 걸렸다. 두 신부는 서울에 온 지 하루 만에 군문효수형을 언도받고
3월 11일에는 새남터로 끌려 나가 순교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안타깝게도 훗날의 시복 과정에서 모두 제외되고 말았다. 끝가지 신앙을 증거한
사실이나 순교 의지를 표명한 점이 분명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편
장주기 회장은 신부들이 체포되어 간 뒤 이웃 마을에서 체포되었고, 이내 서울로 압송되어 군문효수형을 선고받았다. 그런 다음 자신이 원하던 대로
다블뤼 주교 등과 함께 충청도 갈매못(충남 보령군 오천면 영보리의 고마수영)으로 옮겨져 1866년 3월 30일에 순교하는 영광을 얻게 되었다.
이로써 배론은 또 다른 의의를 갖게 되었으니, 신학 교육의 요람지가 순교자들의 요람지로 변하게 된 것이다. 특히 장주기 회장이 훗날 성인품에
오름으로써 배론 순교사의 의미는 더욱 빛을 내게 되었다.
박해의 물결이 지나간 뒤에도 배론 교우촌은 꾸준히 그 복음의 터전을 유지하였다. 또
박해 때 피신했던 신자들이 다시 모여들면서 공소로 설정되었고, 1920년대에는 공소 강당이 건립되었다. 당시 이곳은 가구수는 65호, 총
신자수는 100여 명이었다. 그리고 이제, 배론 성지는 순례의 명소가 되어 우리 후손들에게 선조들의 신심과 성인의 가르침, 그 안에 담긴
애환들을 전해 주게 되었다. [출처 : 차기진, 사목, 1999년 7월호]
|
배론 성지는 박해를 피해 산과 계곡으로
숨어든 교우들이 모여 이룬 교우촌으로 주로 옹기 굽는 일을 하며 신앙생활을 하던 곳입니다. 앞길이 창창했던 황사영은 천주교의 오묘한 이치에
매료되어 세례를 받은 후에는 벼슬길도 마다하고 1801년 신유박해 때 배론으로 들어왔습니다. 그 해 8월 주문모 신부의 순교 소식을 듣고는
낙심과 의분으로 북경 구베아 주교에게 보내는 탄원서를 배론의 옹기 토굴에서 썼는데, 그것이 황사영 백서입니다. 하지만 백서를 품고 가던 황심이
붙잡혀 황사영도 대역무도의 죄인으로 극형을 받고 순교하였습니다. 옹기 토굴 옆에는 1855년 장주기 회장의 초가집에 세워진 한국 최초의 서구식
대학인 신학당이 복원되어 있고, 그 뒷산에는 땀의 순교자 최양업 신부의 묘소가 있습니다. 이렇듯 배론 성지는 교회사적으로 뿐만 아니라
문화사적으로도 중요한 곳으로, 2001년 3월 2일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성지 일대가 충청북도 기념물 제118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배론 성지는 1999년 최양업 신부 서품 150주년을 기념하고 시복 시성을 기원하기 위해 '최양업 신부 기념성당'을 건립하였는데, 그 모양이 마치 노아의 방주를 연상케 합니다. 또한 대성당과 소성당 두 동으로 건립된 기념성당은 성지 주변 골짜기가 배 밑바닥처럼 생겼다 하여 '배론'이라 불려온 지명과 어울리도록 배 모양으로 만들어졌습니다. 2002년 10월에는 성지 초입에 순례자들의 집을 봉헌하였고, 2004년 11월에는 대성당 뒤편에 최양업 신부의 거룩한 삶의 여정을 한 눈에 보고 묵상함과 동시에 산 이와 죽은 이가 한 자리에서 만나 기도할 수 있는 '최양업 신부 조각공원'을 조성해 봉헌하였습니다. 2005년 피정의 집으로 사용되는 순교자들의 집을 새단장하여 축복식을 가졌고, 2010년 9월에는 신자들에게 문화와 영성을 교육하고 교구 교회사와 영성을 기록 · 보관 · 연구함으로써 교회와 지역사회 문화 발전에 기틀이 될 '문화영성연구소'를 설립하여 축복식을 가졌습니다. |
미사시간 | |||
미사구분 | 요일 | 시간 | 기타사항 |
주일미사 | 일 | 11:30 | |
평일미사 | 월 | 11:30 | |
화 | 11:30 | ||
수 | 11:30 | ||
목 | 11:30 | ||
금 | 11:30 | ||
토 | 11:30 |
* 미사시간이 변동될 수 있으니 성지나
관련기관으로 전화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