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다산초당
관리자
광주
0
10396
0
2017.02.03 09:47
국토의
끝, 전라남도 강진은 남도 문화의 일번지이다. 월출산 아래 멀리 다도해를 바라보며 남단으로 자리 잡은 강진은 예로부터 많은 선비들이 서러운 유배
생활을 하곤 했던 곳으로 당대 최고의 실학자였던 다산 정약용(1762-1836년)이 무려 18년간이나 유배됐던 곳이다. 다산은 이곳에서 수많은
명저(名著)를 저술했기에 강진은 정약전 · 약종 · 양용 형제의 고향이자 한국 천주교회의 요람인 마재 못지않은 중요한 사적지로
손꼽힌다.
정재원(丁載遠)의 넷째 아들로 이승훈의
처남이기도 한 다산은 경기도 양근 마재에서 태어나 성호 이익의 학풍을 이어받아 실학을 집대성한 인물로 평가된다. 그가 천주교와 관계를 맺기
시작한 것은 이미 1770년대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천주교 서적을 접하면서 그 오묘한 진리에 매료되기 시작한 그는 1783년에는 형 약전과
함께 서울로 올라가는 배 안에서 이벽(李壁)과 천주교에 관해 토론을 벌이고 1784년 수표교에 있는 이벽의 집에서 세례를
받았다.
하지만 그 이듬해
을사추조적발사건(乙巳秋曹摘發事件)이 일어나자 그는 척사(斥邪)의 태도를 취한다. 1791년 진산 사건이 발생하여 윤지충과 권상연이 죽음을 당하고
박해가 거세지자 그는 배교의 뜻을 명백히 한다. 더군다나 1797년 그는 다시금 자신이 서학도(西學徒)로 지목받자 자명소(自明疎)까지 올려가며
신앙을 부인했고 1799년에는 “척사 방략”(斥邪方略)을 저술해 천주교에 대한 배격의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하지만
1801년 신유박해로 정약용은 체포되었고 이 과정에서 그는 천주교를 철저히 부인하고 권철신, 황사영 등 자신이 알고 있던 교회 지도자들을
고발하기도 했다. 그러나 결국 그는 강진으로 유배의 길을 떠나게 된다.
강진에서 18년간의 유배 생활을 시작하면서
그는 자신의 호를 여유당(與猶堂)이라고 칭한다. 이는 아마도 자신의 형 약종과 매부 이승훈이 서소문 밖 네거리에서 순교의 길을 택한 데 비해
자신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다는 뜻의 ‘여유당’이라는 자호(自號)로써 그 부끄러움을 표현한 것이리라.
스스로를 부끄러워했던 다산. 그러나 어쩌면
그런 머뭇거림 자체가 하느님의 섭리였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드는 이유는 무엇일까? 다도해를 바라보며 적적하게 선 강진의 외딴 초당에서 다산은
“목민심서”(牧民心書), “경세유표”(經世遺表), “흠흠신서”(欽欽心書) 등을 저술한다.
산천이 두 번 변하는 세월을 쓸쓸하게
지내고 난 뒤 유배가 풀려 서울로 돌아온 다산은 이전과 비교할 수 없는 굳건한 신앙을 보여 준다. 유배 중이던 1811년 그는 성직자 영입
운동에 참여하기도 했으나 완전히 교회로 돌아온 것은 유배에서 풀려난 후 2, 3년 뒤로 보인다.
자신의
배교를 크게 반성한 다산은 대재를 지키며 고신극기(苦身克己)의 생활을 하면서 외부와의 연락을 끊고 묵상과 기도로 살아갔다. 그는 이런 참회와
기도의 생활 가운데 “조선 복음 전래사”(朝鮮福音傳來史)를 저술했고 박해로 순교한 동지들의 유고를 “만천유고”(蔓川遺稿)라는 제목으로 정리하기도
했다. 특히 만천유고에는 이벽의 “천주 공경가”(天主恭敬歌)와 “성교요지”(聖敎要旨)와 같은 주옥같은 글들이 담겨 있다.
인간적인 나약함으로 배교한 뒤 말년을
회개와 참회로 참된 진리에 자신을 바친 다산은 죽기 직전 중국인 파치피코 유방제(劉方濟) 신부로부터 병자성사를 받고 숨을
거두었다.
다산의 체취가 고스란히 서려 있는
다산초당은 유배의 쓸쓸함을 느끼게 하는 조그만 오솔길을 따라 올라간다. 초당 입구에는 그의 유적비가 외롭게 서 있고 초당 앞에는 차를 갈았던
돌이 놓여 있기도 하다. 또한 18년 동안 정으로 쪼아 정석(正石)이라는 글을 새겨 놓은 초당 옆의 바위는 그의 뉘우침이 얼마나 절절했는지를
말해 준다. 자신에 대한 회환과 뉘우침, 순교한 동료들에 대한 애달픈 심정을 우리는 “만천유고” 발문에서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한평생을
살다 보니 어쩌다가 죄수가 되어 감옥살이까지 하게 되었을까. 그래도 죽음은 모면하여 급기야 세상에 다시 나오게 되었구나. 30여 년 세월이
흘러가는 동안 강산은 옛날과 마찬가지로 푸른 하늘과 흰 구름이 떠도는 그림자도 변함없건만 그 옛날 어질던 스승과 선배들 그리고 절친했던 친구들
다 어디로 가 버렸기에 하나도 볼 수 없던 말인가!”
2001년 한국교회사연구소 사료조사단은
강진을 답사한 후 강진에서 발굴된 다수의 정약용 인장에서 십자가 모양이 새겨져 있는 사실과 다산이 강진에서 가르친 다신계(茶信契) 18명의
제자들 중 이승훈(베드로)의 아들 이택규(다산이 그의 외삼촌이 됨. 다산의 누이가 이승훈의 처)와 순교자 윤지충(바오로)의 양자 윤종영이 포함돼
있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사료 조사단은 이런 사실을 근거로 다산
정약용이 강진 유배 생활 중에도 천주교와 관계했고, 또 십자가를 새긴 인장은 다산이 자신의 믿음을 상징적으로 고백한 것으로 천주교 신자로
살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의 다산 초당은 옛 초당이 무너져
1958년 다산유적보존회가 주선하여 건물이 있던 자리에 다시 지은 것으로, '정다산유적'(丁茶山遺蹟)이란 명칭으로 1963년 1월 21일 사적
제107호로 지정되었다. 1999년 8월 7일에는 다산 초당에서 남쪽으로 800m 떨어진 곳에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업적 등을 기리기 위한 다산
유물전시관이 설립되었다. 그리고 강진 다산 수련원에서 구림마을까지 이어지는 남도 유배길 61.5km는 2009년 문화체육관광부가 정한 이야기가
있는 문화생태 탐방로로 지정되었다. [출처 : 주평국, 하늘에서 땅 끝까지 - 향내나는 그분들의 발자국을 따라서, 가톨릭출판사, 1996, 내용
일부 수정 및 추가(최종수정 2013년 10월 23일)]
|
국토의 남단, 전라남도 강진은 예로부터
많은 선비들이 유배 생활을 했던 곳으로 당대 최고의 실학자였던 다산 정약용이 무려 18년간이나 유배되었던 곳입니다. 다산은 경기도 양근 마재에서
태어나 실학을 집대성한 인물로 1770년대 후반 서학 서적을 접하면서 천주교와 관계를 맺었고, 그 진리에 매료되어 1784년 수표교에 있는
이벽의 집에서 세례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을사추조적발사건과 진산사건 등으로 박해가 거세지자 수차례 배교의 뜻을 밝혔으나 1801년 신유박해 때 체포되어 결국 유배의 길을 떠났습니다. 강진에서 18년간의 유배 생활을 하면서 그는 자신의 호를 여유당(與猶堂)이라고 칭했습니다. 이는 아마도 자신의 형 약종과 매부 이승훈이 순교의 길을 택한 데 비해 자신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다는 뜻으로 그 부끄러움을 표현한 것으로 사료됩니다. 정약용은 이 외딴 초당에서 “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신서” 등 수백 권의 책을 저술했고, 유배가 풀려 서울로 돌아온 뒤에는 이전과 비교할 수 없는 굳은 신앙을 보여 주었습니다. 유배 중 성직자 영입 운동에 참여하기도 했지만 완전히 교회로 돌아온 것은 유배에서 풀려난 후로 보입니다. 자신의 배교를 크게 반성한 다산은 대재를 지키며 고신극기의 생활을 하며 외부와 연락을 끊고 묵상과 기도로 살았습니다. 그리고 죽기 직전 중국인 유방제 신부에게 병자성사를 받고 숨을 거두었습니다. |
미사시간 | |||
미사구분 | 요일 | 시간 | 기타사항 |
주일미사 | 일 | 06:30 | 새벽 |
10:00 | 오전 | ||
평일미사 | 월 | 06:30 | 새벽 |
화 | 19:30 | 저녁 | |
수 | 10:00 | 오전 | |
목 | 10:00 | 오전 | |
금 | 19:30 | 저녁 | |
토 | 15:00 | 어린이미사 | |
19:00 | 주일저녁미사 |
* 미사시간이 변동될 수
있으니 성지나 관련기관으로 전화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