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 솔뫼

Korea Martyrs Shrine 한국의 순교 성지

당진 솔뫼

관리자 0 9854 0
 간략설명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탄생지
 지번주소 충청남도 당진시 우강면 송산리 108 
 도로주소 충청남도 당진시 우강면 솔뫼로 132
 전화번호 (041)362-5021
 팩스번호 (041)362-5524
 홈페이지 http://solmoe.or.kr
 전자메일 solmoe1821@hanmail.net
 문화정보 사적 제529호(김대건 신부 생가 유적)
3232235521_lPHcJ2LW_f8931c2562f5ee6737e7cfbd7a01f8545d2d5e86.JPG


<승용차>

* 서해안 고속도로(서울, 인천, 전주, 광주)로 오실 경우에는 당진 IC에서 합덕, 예산 방향으로 나와서 32번 국도를 타고 15-20분 정도 가면 솔뫼 표지판이 나옵니다. 

* 경부 고속도로(대구, 부산)로 오실 경우 남천안 IC에서 천안 => 신례원 => 당진, 합덕으로 오시면 됩니다. * 대전에서는 동부터미널에서 천안 => 신례원 => 당진, 합덕으로 오시면 됩니다. 

  <대중교통> 

* 서울에서 오실 때 : 동서울 터미널(하루에 2번), 남부 터미널(하루 6번)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 다른 지방에서도 합덕으로 오시는 차편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 합덕 터미널에서 걸어서는 20분, 택시를 타면 3분 정도 거리입니다.

 

한자 뫼산 모양의 정문과 예수성심상이 순례자를 맞이한다.1845년은 한국 교회 최초의 방인 사제인 김대건(金大建, 1821-1846년) 신부가 사제품을 받고 귀국한 역사적인 해이다. 세계 교회 역사상 그 유래가 없이 자생적으로 설립된 한국 천주교회는 그 해 김대건 신부의 사제 서품과 귀국으로 비로소 명실상부한 교회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솔뫼는 바로 한국 최초의 사제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탄생지로서, 성인이 박해를 피해 조부 김택현(金澤鉉)을 따라 용인 땅 골배마실로 이사 갈 때인 일곱 살까지 살았던 곳이다.

‘소나무가 우거진 작은 동산’이라는 뜻을 가진 ‘솔뫼’는 충청남도 당진시 우강면 송산리에 위치한 작은 마을이다. 이곳은 김해 김씨 안경공파에 속한 김대건 신부의 증조부 김진후 비오(金震厚, 1739-1814년 순교), 종조부 김종한 안드레아(金宗漢, ?-1816년 순교, 족보에는 漢鉉으로 나옴), 부친 김제준 이냐시오(金濟俊, 1796-1839년 순교) 그리고 김대건 신부 등 4대의 순교자가 살던 곳이다. 김대건 신부는 바로 이곳에서 사제품 받고 1년 만인 1846년 순교하기까지 그의 삶을 채웠던 뜨거운 신앙과 열정을 배웠던 것이다.

김대건 신부가 1984년 5월 6일 서울 여의도 광장에서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에 의해 성인품에 오르고 30년 뒤인 2014년 8월 16일, 나머지 3대 순교선조들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복자품에 올라 4대 모두 복자와 성인품을 받았다.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상과 성인을 감싸고 있는 성모상 형상의 기념탑.이 작은 마을에 복음이 전래된 것은 김대건 신부의 조모 이씨의 삼촌이며 ‘내포의 사도’로 불리는 이존창 루도비코가 그의 고향인 충청도 지방의 전교를 맡으면서 시작되었다. 김대건 신부의 증조부인 김진후가 면천 군수로 재직하고 있을 때, 그는 이존창으로부터 복음을 전해 듣고는 곧 벼슬을 버리고 신앙생활에 전념하였다. 그로부터 이곳 솔뫼는 교우촌이 되었다.

하지만 1791년 전라도에서 제사 문제로 일어난 진산 사건으로 그 역시 신해박해의 회오리에 휩쓸려 홍주 · 전주 · 공주 등지의 옥에 갇히게 되었고, 1801년 신유박해 때에는 귀양을 떠나야만 했다. 그 후 귀양에서 풀려 돌아온 후 1805년 또다시 붙잡혀 해미 감옥으로 끌려갔고, 그곳에서 10년간 옥중 생활의 고통을 참아내던 중 1814년 12월 1일(음력 10월 20일) 75세를 일기로 옥중에서 숨을 거두었다.

그로부터 7년이 지난 1821년 8월 21일 부친 김제준 이냐시오와 모친 고 우르술라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난 김대건 신부는 재복(再福)이라는 아명으로 솔뫼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당시 김대건 일가가 살던 집은 아흔아홉 칸이나 되는 큰 집이었다고 한다.

솔뫼에서 대대로 명망이 높았던 김씨 가문이었지만 김진후가 수차례 체포되기를 반복하고, 1805년부터 10년간의 긴 옥중 생활을 하면서 가세가 기울어 신앙을 지키고 살기가 어려워졌다. 셋째 아들 종한은 부친이 옥중에 있을 때 경상도 안동 땅으로 피난을 갔다가 붙잡혀 1816년 대구 감영에서 순교하였다. 둘째 아들 택현은 1827년 아들 김제준과 손자 김대건 등을 데리고 경기도 용인 땅 ‘골배마실’이라는 산골로 삶의 터전을 옮겼다. 오랫동안 살아왔던 집과 땅이 있는 고향을 떠나야만 했던 김씨 일가의 피난길은 설움과 눈물이었지만 신앙을 지키겠다는 굳은 의지에서 나온 결단이었다.

성 김대건 신부 기념관 전시관 내부.선대의 신앙을 이어받은 김제준 이냐시오 성인은 성 모방(Maubant) 신부로부터 세례와 견진성사를 받고 회장에 임명되어 전교에 힘쓰면서 자신의 아들을 사제의 길로 인도하였다. 그리고 1839년 기해박해 때 체포되어 그 해 9월 26일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마카오로 유학을 갔던 신학생 김대건은 1845년 8월 17일 상해 김가항(金家港) 성당에서 페레올(Ferreol) 주교로부터 사제품을 받고 그 해 10월 귀국하였다. 귀국 후 첫 사목지를 은이 마을로 정한 뒤 공소를 차려 용인 일대의 사목을 시작하였다. 유학 중에 부친의 임종을 지키지도 못하고 모친 역시 귀국 후 잠시 얼굴만 대했을 뿐, 김대건 신부 또한 사제품을 받은 지 1년 만인 1846년 9월 16일 새남터에서 군문효수형을 받고 장렬한 순교로 일생을 마감하였다. 1814년 증조부인 김진후로부터 시작하여 김대건 신부까지 32년 동안 김씨 일가는 4대가 순교의 월계관을 쓰는 신앙의 명가가 된 것이다.

1906년 합덕 성당 주임 크렘프(Kremff) 신부는 솔뫼를 성역화하기 위해 인근의 토지 매입을 시작하였고, 1946년 김대건 신부의 순교 100주년을 앞두고 백문필(Perrin) 필립보 신부는 복자 김대건 신부 100주년 순교 기념비를 세우고 생가 터를 매입하였다. 그 후 대전교구는 1976년부터 성지 개발을 본격화해 이듬해 3m 높이의 김대건 신부 동상과 기념탑을 건립했다. 동상은 한국 전통 의상인 갓과 도포를 갖추고 영대를 두른 모습으로 바로 뒤에는 보호자인 성모를 의미하는 흰 기념탑을 세웠다. 이어 1983년에 순교자 신앙을 가르치고 전하는 솔뫼 피정의 집을 건립하여 솔뫼 성지를 ‘순교자 신앙의 학교’로 삼았다.

조각 작품으로 야외에 조성된 십자가의 길.대전교구는 또한 1998년 7월 28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46호로 지정된 김대건 신부의 생가 터에 지자체와 함께 2004년 9월 22일 생가를 복원하여 축복식을 가졌다. 복원된 성 김대건 신부 생가는 전통 한옥 구조로 당시 내포 지역 사대부가 살던 집 규모와 구조를 따라 건립되었다. 이어 2006년 3월 30일에는 성 김대건 신부 기념관과 성당 축복식을 갖고 성인의 성덕과 순교 정신을 기리고 본받기 위한 장을 마련하였다.

새로 정비된 성지 입구에 들어서면 뫼산(山)자 모양의 정문과 그 옆의 예수성심상이 자애로운 미소로 순례자를 맞이한다. 성 김대건 신부 기념관 정면에 조성된 솔뫼 아레나와 생가 사이에는 한복을 입고 아기 예수를 안고 있는 2m 크기의 솔뫼 성모상이 정겨운 시선으로 순례자를 맞이한다. 성모상을 지나면 소나무 숲속에 건립된 성 김대건 신부 동상과 기념탑, 그리고 가장자리 벽면으로 유리타일로 제작된 십자가의 길 15처와 조각 작품들로 조성된 십자가의 길 14처가 순례자들의 마음을 이끌고 있다.

이는 2009년 주차장 및 야외 화장실 건립 공사를 시작으로 5년여에 걸쳐 솔뫼 성지에 대한 대대적인 정비 작업을 시행한 결과이다. 솔뫼 성지는 한국인 첫 사제인 성 김대건 신부가 태어난 성지의 위상에 걸맞게 야외무대와 광장을 조성하고 성지를 집회와 순례, 기념 공간으로 나누어 순례자들이 성지순례의 참 의미를 묵상하도록 단장하였다. 노후화된 솔뫼 피정의 집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13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야외 공연장이자 문화공간인 솔뫼 아레나(Arena)와 광장을 건립해 2011년 5월 14일 축복식을 가졌다. 아레나는 고대 로마 원형경기장 내지 극장 중심 부분을 지칭하는 말로, 로마 시대에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순교한 곳이기도 하다.

솔뫼 아레나 너머로 김대건 신부 기념관이 보인다.2004년 복원한 성 김대건 신부 생가. 프란치스코 교황 방문을 기념해 앉아서 기도하는 교황 동상이 설치되었다.

2014년 8월 15일에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솔뫼 성지를 방문해 제6회 아시아 청년대회에 참석한 청년들과 만남의 시간을 가졌고, 그해 9월 25일 문화재청에 의해 김대건 신부의 생가가 있는 ‘당진 솔뫼마을 김대건 신부 유적’이 국가 지정문화재 사적 제529호로 지정되었다. 2015년 4월 24일에는 교황 방문 후속 사업의 일환으로 충남 당진시의 협조로 프란치스코 교황 동상 2점과 족흔 조형물, 교황과 성 김대건 신부가 남녀 어린이와 손을 잡고 웃고 있는 토피어리가 설치되었다. [출처 : 주평국, 하늘에서 땅끝까지 - 향내나는 그분들의 발자국을 따라서, 가톨릭출판사, 1996, 내용 일부 수정 및 추가(최종수정 2015년 12월 18일)]

성지 입구에 프란치스코 교황 방문을 기념해 교황과 성 김대건 신부가 남녀 어린이와 손을 잡고 웃고 있는 토피어리가 설치되었다.


솔뫼와 다락골 - 첫 한국인 사제들의 생가


솔뫼 성모자상.김대건(金大建, 안드레아)과 최양업(崔良業, 토마스) 신부는 첫 한국인 사제로, 서로 동갑내기인데다가 인척이었으며, 함께 신학생으로 간택되어 이국땅에서 서로 의지하며 생활하였다. 다만 김대건 신부가 훗날 피의 순교자며 성인이 된 반면에 최양업 신부는 한국 사제들의 모범이 될 땀의 순교자가 되었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김대건 신부의 집안이 언제부터 ‘솔뫼’(당진군 우강면 송산리)에서 생활하였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그의 집안에서 처음 복음을 받아들인 사람이 증조부인 김종현(金淙鉉)이고, 그 때 솔뫼에서 살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 뿐이다. 이후 그의 영향을 받아 증조부 진후(비오)를 비롯하여 조부 택현과 종조부 종한(안드레아), 희현(루수)이 입교하였으며, 이러한 신앙 전통이 부친 제준(濟俊, 이냐시오) 성인과 대건 신부에게 이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1821년 대건이 태어났을 때는 이미 증조부인 진후가 1814년에 해미에서 옥사하였고, 종조부인 종한은 경상도로 이주하여 생활하다가 1815년의 을해박해 때 체포되어 이듬해 대구에서 순교한 뒤였다.

김제준 성인이 가족을 이끌고 고향 솔뫼를 떠난 것은 김대건의 소년 시절인 1820년대 중반이었던 것 같다. 이후 그의 가족들은 서울 청파로 이주해 살다가 다시 경기도 용인의 한덕동(寒德洞, 이동면 묵리)을 거쳐 이웃 골배마실(내사면 남곡리)로 이주하였다. 바로 이곳에서 김대건은 신학생으로 선발되었다.

성 김대건 신부 기념관의 성당 내부.
반면에 최양업 신부의 선대는 본래 서울에서 세거하던 집안이었으나, 증조부 최한일(崔漢馹)이 복음을 받아들인 후 1791년의 신해박해 때 과부가 된 증조모가 아들 인주(仁柱, 최양업 신부의 조부)와 함께 충청도 청양 다락골로 낙향하게 되었다. 인주는 이곳에서 장성한 뒤 이웃 ‘새터’(청양군 화성면 농암리)로 옮겨 새 삶의 터전을 가꾸었으며, 차츰 이곳으로 신자들이 이주해 오면서 교우촌이 형성되었다. 최양업은 1921년에 이 새터 교우촌에서 태어나 부친 최경환(崔京煥, 프란치스코) 성인과 모친 이성례(李聖禮, 마리아)의 신앙을 먹으며 성장하였다.

최경환은 이후 가족들과 함께 다락골 새터를 떠나 서울의 낙동(현 회현동)으로 이주해 살다가 다시 이곳을 떠나 지방을 전전하였고, 양업의 나이 만 11살이 되던 1832년 무렵에는 과천의 수리산 뒤뜸이(현 경기도 안양시 안양 3동)에 정착하였다. 이 뒤뜸이 마을은 얼마 안 되어 신자들의 비밀 공동체인 교우촌으로 바뀌게 되었다. 양업은 1836년 초 바로 이곳에서 신학생으로 추천되었으며, 경환은 훗날 수리산의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솔뫼는 김대건 신부의 가족이 이주한 뒤 교우촌으로서 의미를 잃었다. 반면에 다락골과 새터 교우촌은 계속 유지되었으며, 병인박해 이후 여러 순교자들이 탄생하게 되었다.

성 김대건 신부 기념관. 왼쪽이 성당, 오른쪽이 기념관이다.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을 기념해 입구 앞쪽에 교황의 족흔 조형물, 안쪽에 소녀에게 꽃을 받는 교황 동상이 설치되었다.

솔뫼 생가 터는 1946년 김대건 신부 순교 100주년을 맞이하여 후손들에게 매입되었고, 같은 해 6월 4일에는 순교 기념비가 건립되었다. 그 후 대전교구의 ‘솔뫼 성역화 추진 위원회’에서는 1976년부터 본격적으로 성지 개발을 시작하여 이듬해 동상과 기념탑을, 1983년에 피정의 집을 건립하였다. 반면에 병인박해 때의 무명 순교자들이 안치되어 있던 다락골 줄무덤은 1982년에야 비로소 청양 본당 교우들이 사적지로 조성하였다. [출처 : 차기진, 사목, 1999년 9월호]

 


솔뫼는 한국 최초의 사제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탄생지로서, 성인이 박해를 피해 용인 땅 골배마실로 이사 갈 때인 일곱 살까지 살았던 곳입니다. ‘소나무가 우거진 작은 동산’이라는 뜻을 가진 ‘솔뫼’는 김해 김씨 안경공파인 김대건 신부의 증조부 김진후(1814년 순교), 종조부 김종한(1816년 순교), 부친 김제준(1839년 순교) 그리고 김대건(1846년 순교) 신부 등 4대의 순교자가 살던 곳입니다. 이 작은 마을에 복음이 전래된 것은 ‘내포의 사도’로 불리는 이존창 루도비코가 그의 고향인 충청도 지방의 전교를 맡으면서 시작되었습니다. 김대건 신부의 증조부인 김진후가 면천 군수로 재직하고 있을 때 그는 이존창으로부터 복음을 전해 듣고 곧 벼슬을 버리고 신앙생활에 전념하였고, 그로부터 이곳 솔뫼는 교우촌이 되었습니다.

1906년 합덕 성당 주임 크렘프 신부는 솔뫼를 성역화하기 위해 인근의 토지 매입을 시작하였고, 1946년 김대건 신부 순교 100주년을 앞두고 백 필립보 신부는 복자 김대건 신부 100주년 순교 기념비를 세우고 생가 터를 매입하였습니다. 그 후 대전교구는 1976년부터 성지 개발을 본격화해 이듬해 3미터 높이의 김대건 신부 동상과 기념탑을 건립했습니다. 이어 1983년에 순교자 신앙을 가르치고 전하는 솔뫼 피정의 집을 건립하여 솔뫼 성지를 ‘순교자 신앙의 학교’로 삼았습니다.

또한 1998년 7월 충청남도 기념물 제146호로 지정된 김대건 신부의 생가 터에 지자체와 함께 2004년 9월 생가를 복원하였고, 2006년 3월에는 성 김대건 신부 기념관 축복식을 갖고 성인의 성덕과 순교 정신을 기리고 본받기 위한 장을 마련하였습니다. 2009년부터 주차장 공사를 시작으로 솔뫼 성지는 다시 한 번 대대적인 정비에 들어가 성지의 위상에 걸맞게 야외무대와 광장을 조성하고 성지를 집회와 순례, 기념 공간으로 나누어 순례자들이 성지 순례의 참 의미를 묵상하도록 단장했습니다. 노후화된 솔뫼 피정의 집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13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야외 공연장이자 문화공간인 솔뫼 아레나를 건립해 2011년 5월 축복식을 가졌습니다. 2014년 8월 15일에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이곳을 방문해 제6회 아시아 청년대회에 참석한 청년들과 만남을 가졌고, 2014년 9월 25일에는 ‘당진 솔뫼마을 김대건 신부 유적’이 국가 지정문화재 사적 제529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미사시간
미사구분 요일 시간 기타사항
주일미사 07:00  
11:00  
평일미사 07:00  
11:00  
07:00  
11:00  
07:00  
11:00  
07:00  
11:00  
07:00  
11:00  
07:00  
11:00  

* 미사시간이 변동될 수 있으니 성지나 관련기관으로 전화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

0 Comments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90 명
  • 오늘 방문자 1,244 명
  • 어제 방문자 1,327 명
  • 최대 방문자 5,379 명
  • 전체 방문자 1,805,382 명
  • 전체 게시물 1,379 개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