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내 성가정 성지

Korea Martyrs Shrine 한국의 순교 성지

단내 성가정 성지

관리자 0 12554 0

 

간략설명남한산성에서 백지사로 순교한 정은 바오로의 안식처
지번주소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단천리 357 
도로주소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이섭대천로155번길 38-13
전화번호(031)633-9531 
팩스번호(031)634-9530
홈페이지http://www.dannae.or.kr
전자메일dannae-hl@casuwon.or.kr
3232235521_swUelDvq_2201c0cef7bab96dd5fc2f649cafecd7ce697612.JPG

언덕 위에 건립된 성당 외부.이천시 호법면 단천리에 위치한 단내 성지는 1866년 병인박해 당시 광주 유수부인 남한산성에서 순교한 정은 바오로(鄭溵, 1804-1866년)와 그의 재종손인 정양묵 베드로(鄭亮默, 1820-1866년)의 고향이자 유해가 묻혀 있는 곳이다. 앞에 단천이 흐르고 뒤에 숲이 울창한 와룡산이 감싸고 있는 단내 성지는 한국 교회사에서 처음으로 성직자를 조선 땅에 영입한 주역 가운데 하나인 순교복자 윤유일 바오로(尹有一, 1760-1795년)의 묘가 있는 어농 성지와도 지척이다. 단천리는 또한 한국에 교회가 세워지던 1784년 이전부터 천주교가 들어와 있었던 유서 깊은 교우촌이기도 하다.
 
영동 고속도로 덕평 나들목에서 나와 양 옆으로 시골의 정취가 물씬 풍기는 논밭 사이의 도로를 따라 7km 정도 달리면 왼편 와룡산 정상 위에서 두 팔 벌려 순례객들을 맞이하고 있는 대형 예수성심상을 만나게 된다. 주차장에서 숲길을 따라 조금 들어가면 탁 트인 성가정 광장과 붉은 빛의 아름다운 성당이 한 눈에 들어온다.
 
성가정 광장 한편에 설치된 성가정상.광장 한편에 성가정상과 이천 지역에서 태어나거나 체포되어 순교한 5위 성인 순교비(五位聖人殉敎碑)가 자리하고 있고, 그 옆으로 계단을 오르면 말끔하게 단장된 순교자 정은 바오로와 정양묵 베드로의 묘소가 나온다. 묘역 주위에는 유난히 푸른빛을 띠고 있는 소나무들이 우거져 있어 마치 순교자의 굽히지 않는 신앙을 증언해 주고 있는 듯하다.
 
단내 성지가 이렇듯 말끔하게 모습을 갖춘 것은 1987년 9월 15일, 이천 지역 출신의 순교자들을 기리기 위해 발족한 ‘이천 성지 개발위원회’가 수원 교구장 김남수 주교의 모시고 윤유일 순교자와 그 일가족을 기념하기 위한 어농 사적지와 함께 이곳 단내 사적지를 축성하면서 본격화되었다.
 
동래 정씨로 그 조부 시절부터 실학사상의 영향을 받아 일찍이 서학(西學)을 접했던 정은 바오로의 집안은 이미 그가 태어나기도 전에 사촌형인 정섭과 정옥이 신앙을 갖고 있었으며 순교의 모범을 보여 준 바 있다. 신유박해가 지나간 3년 후인 1804년에 태어난 정은 바오로 역시 천주교에 입교했고, 그의 어머니 허 데레사와 부인 홍 마리아 역시 입교하였다. 그들이 살던 단내 마을(단천리) 맞은편의 ‘동산 밑 마을’(동산리)은 103위 한국 순교 성인 중 한 명인 이문우 요한(李文祐, 1809-1840년)의 고향이기도 하다.
 
순교자 정은 바오로와 정양묵 베드로의 묘소.1866년 병인박해의 회오리는 이 마을에도 휘몰아쳤고, 포졸들은 정은 바오로를 붙잡기 위해 매봉에 숨어 망을 보았다. 당시 63세의 노인이었던 그는 추운 겨울날 낮이면 마을 뒷산 ‘검은 바위’ 밑 굴속에 숨어 있다가 밤이면 내려와 잠을 자고 또 올라갔다. 그러나 결국 그는 포졸들에게 체포되어 남한산성까지 가파른 산길로 끌려갔다. 이때 그의 형님의 손자인 정양묵 베드로가 작은 할아버지께서 병드신 몸으로 홀로 잡혀가신다는 소식을 듣고 그 곁을 지켜드리고자 자진하여 천주교 신자임을 고백하고 함께 잡혀갔다.
 
한 달여를 남한산성에 갇혀 배교를 강요당했으나 이에 굴하지 않은 두 사람은 그 해 12월 8일(음력) 얼굴에 물을 뿌리고 그 위에 백지를 덮어 숨이 막히게 해 죽이는 백지사형(白紙死刑)으로 순교의 영광을 얻었다. 그들이 순교한 뒤 시체는 남한산성 동문 밖으로 시구문을 통해 던져졌는데 가족들이 몰래 정은 바오로의 시신을 찾아 이곳에 안장했다. 그러나 정양묵 베드로는 당시 함께 순교한 수많은 시신들 틈에 섞여 미처 찾아오지 못했다. 끝까지 작은 할아버지 곁을 지키다 순교한 정양묵 베드로의 뜻을 기억하고자 2000년 4월 11일 남한산성 동문 밖의 흙 한 줌을 가져와 할아버지 묘 옆에 가묘를 만들어 모셨다.
 
순교자 묘역 입구에는 5위 성인 순교비와 성지 표지석이 세워져 있다.또한 단천리는 최초의 한국인 사제인 성 김대건 안드레아(金大建, 1821-1846년) 신부가 머물렀던 은이 마을과는 12km 남짓 떨어진 곳이기도 하다. 성 김대건 신부는 1846년 귀국한 이후 동산 밑 마을을 방문하고 이웃한 단내 마을을 찾아 신자들에게 고해성사를 주었다. 그런 다음 현재 정은 바오로의 묘소 앞 오방이 산모퉁이를 지나 배마실 공소를 거쳐 새벽 어스름에 은이 공소로 돌아갔다고 한다.
 
이렇듯 단내 성지는 한국에 존재하는 가장 역사가 오래된 교우촌 가운데 하나이며 성 김대건 신부의 사목활동지이기도 하다. 아울러 한국 103위 순교성인 가운데 이천에서 태어났거나 체포되어 순교한 5위의 성인을 기념하는 성지이다.
 
특별히 단내가 가정성화를 위해 순례하는 성가정 성지로 명명된 것은 성지에서 기념하는 다섯 명의 성인과 순교자 중 이문우 성인을 제외하면 모두 가족 순교자이기 때문이다. 정은 바오로와 정양묵 베드로 순교자는 작은 할아버지와 손자 사이, 이호영 베드로(李~, 1802-1838년)와 이조이 아가타(李~, 1784-1839년)는 남매 사이, 조증이 바르바라(趙曾伊, 1782-1839년)와 남이관 세바스티아노(南履灌, 1780-1839년)는 부부이다. 또한 김대건 신부의 아버지인 김제준 이냐시오(金濟俊, 1796-1839년) 역시 순교 성인의 한 분이다.
 
정은 바오로와 가족들이 박해를 피해 숨어 생활하던 검은 바위 앞에 성모상이 세워져 있다.수원교구는 1998년 4월 26일 순교자 광장에 4m 높이의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성상을 안치하여 제막식을 가졌고, 5월 31일에는 십자가의 길 14처와 청소년 캠프장을 새롭게 단장하여 축복식을 가졌다. 이어 2003년 7월 12일 지상 1층에 300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성당을 건립하여 봉헌했고, 그 해 10월 9일 5위 성인 순교비를 5m 높이의 화강석으로 제작하여 제막식을 가졌다. 또한 단체 순례객을 위한 영성관을 마련하여 가정 성화를 위해 순례하는 성가정 성지로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성지 사무실 및 사제관과 소성당 앞 광장에 십자가 화단을 조성하고 그 앞에 야외제대와 성모상, 성 요셉상 등을 설치하였다.
 
또한 와룡산 정상에 설치된 예수성심상 앞에 서면 이문우 성인의 고향인 동산리와 성 김대건 신부의 사목 활동 경로를 조망할 수 있다. 예수성심상에서 와룡산 계곡을 따라 20분 정도 올라가면 정은 바오로와 그 가족들이 박해를 피해 숨어 생활하며 기도했던 검은 바위가 있다. 수원교구는 이 검은 바위에 성모상을 세우고 묵주기도를 바치며 박해의 괴로움을 이겨냈던 그들의 신심을 본받고자 하였다. 검은 바위에서 와룡산 능선을 타고 30분 정도 가면 정은 바오로 순교자의 가족들이 가산을 몰수당하고 마을에서 쫓겨나 피난생활을 했던 굴바위가 나온다. 이곳에서는 굶주림과 추위와 두려움 속에서도 신앙과 가족에 대한 사랑으로 꿋꿋이 견뎌낸 선조들의 숨결을 느낄 수 있다. [출처 : 주평국, 하늘에서 땅 끝까지 - 향내나는 그분들의 발자국을 따라서, 가톨릭출판사, 1996, 내용 일부 수정 및 추가(최종수정 2016년 12월 22일)]

정은 바오로와 정양묵 베드로 순교자 묘역 전경.순교자 광장에는 야외제대와 그 앞에 5위 순교성인을 기념하는 의묘가 자리하고 있다.
 
 
구산, 단내에서 남한산성으로 이어진 순교
 
호국(護國)과 호교(護敎)를 위한 몸부림이 배어 있는 남한산성(광주군 중부면 산성리)은 하남시 서부 성당에서 사적지 조성을 위해 힘을 쓰고 있는 곳이다.
 
남한산성 성지 입구의 순교자 현양비.이곳의 첫 번째 애환은 1636년 12월 14일, 청나라의 침입을 받아 한양이 위태롭게 되자 인조가 세자와 백관들을 대동하고 피난해 오면서 시작되었다. 인조는 이곳에서 40여 일을 수성하였지만, 모든 사정이 악화되자 결국 이듬해 1월 30일 백관과 군사들의 호곡 소리가 끊이지 않는 가운데 성문을 열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후 조선에서는 청나라와 굴욕의 맹약을 맺은 삼전도에 세워진 청나라 태종의 송덕비를 가리켜 '치욕의 비' 또는 '한(汗)의 비'라 불렀으니, 이것은 곧 '호국의 몸부림'이었다.
 
그로부터 200여 년이 지난 1839년의 박해 때 남한산성에서는 두 번째 애환이 있게 되었으니, 이것은 바로 '호교를 위한 몸부림'이었다. 그러나 이 몸부림은 천상의 승리로 결실을 맺게 되었고, 신앙인들의 노래는 훗날까지도 이어져 남한산성 한 모퉁이를 치명터로 만들었다. 당시 이곳이 치명터가 된 이유는, 1626년에 산성리가 형성되고 1795년부터 광주 유수가 성안에 거처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박해가 계속되는 동안 광주 일대에서 체포된 수많은 신자들이 이곳으로 끌려와 모진 형벌을 받으면서 배교를 강요당했고, 신앙을 지키기 위해 세속의 모든 부귀와 육신의 고통을 버려야만 했다.
 
남한산성에서 맨 먼저 호교의 노래를 부른 이는 광주 의일리(현 의왕시 학의동)에 살다가 1801년에 체포되어 동문 밖에서 참수된 한덕운(韓德運, 토마스)이다. 그 뒤를 이어 광주의 거북뫼 곧 구산(현 하남시 망월동) 출신인 김만집(金萬集, 아우구스티노)이 기해박해 때 체포되어 1842년 초에 남한산성 옥중에서 "진실한 통회와 애덕의 정을 지닌 채" 순교하였다.
 
단내 성지의 성가정 광장 모습. 광장 위에 순교자 묘역이 자리하고 있다.한편 김만집의 형 김성우(金星禹, 안토니오) 성인은 이때 포도청과 형조에서 수많은 형벌을 받은 뒤 1841년에 교수형을 받아 순교하였으며, 셋째인 김문집(金文集, 베드로)은 김만집과 함께 체포되어 남한산성으로 끌려가 오랫동안 옥중 생활을 하다가 1858년경에 석방되었다. 이곳 남한산성에서 다시 순교자가 탄생한 것은 1866년의 병인박해 때였다.
 
바로 그 해 겨울 이천 단내(이천시 호법면 단천리)에 거주하던 정은(바오로)도 63세의 나이로 체포되어 재종손 정 베드로와 함께 1866년 12월 8일 남한산성에서 순교하였다. 당시 남한산성의 광주 유수가 그들에게 내린 사형은 일명 도배형 또는 도모지(塗貌紙)라고 부르던 백지사(白紙死)였다. 이 형벌은 먼저 팔과 양다리를 뒤로 하여 나무에 결박하고, 여기에 풀어헤친 상투를 묶어 움직이지 못하게 한 다음 얼굴에 물을 뿌리고 창호지를 한 장씩 겹쳐 나감으로써 숨이 막혀 죽도록 하는 방법이었다. 이렇게 순교한 정은의 시신은 동문 밖에 짐승의 먹이로 버려졌다가 가족들에 의해 어렵게 거두어져 단내에 안장되었다.
 
박해자의 손길은 얼마 되지 않아 이미 교우촌으로 알려져 있던 구산에 뻗혔다. 이내 김문집(베드로)을 비롯하여 집안의 어른 남자들이 모두 체포되었고, 남한산성으로 끌려가 문초를 받게 되었다. 당시 김문집의 나이는 66세의 고령이었다. 그와 함께 체포된 김씨 집안의 신자들은 김성우 성인의 외아들인 성희(암브로시오), 순교자 김만집의 차남 차희, 김문집의 외아들 경희, 경희의 5남이자 성희의 양자인 교익(토마스), 경희의 6촌 윤희 등 모두 6명이었는데, 이중에서 김교익만이 안면 있는 포교의 도움으로 생환하였을 뿐 모두 순교하였다. 결국 구산의 순교자는 김성우 성인을 비롯하여 모두 7명이 된 셈이다.
 
구산 성지의 김성우 안토니오 성인 묘.한편 가까스로 생환한 김교익은 사형이 집행된 뒤에 매일같이 형장으로 찾아가 김문집과 김성희·경희 등 3명의 시신을 찾아다 구산의 가족 묘역에 보존되어 오던 성 김성우와 김만집 형제의 무덤 옆에 안장하였다. 그러나 김차희의 시신은 아들 김교문에 의해 거두어져 안양 수리산에 안장되었다가 실묘되었으며, 후손이 없던 김윤희의 시신은 거두어지지 않았다.
 
이처럼 구산과 단내에서 시작된 신앙을 천상의 영복으로 영글게 한 남한산성에는 이 밖에도 수많은 순교자들의 애환과 몸부림이 어려 있다. 그러나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순교 터 매입과 사적지 작업은 어렵기만 한 상황이다. '순교자들이 살아서 들어갔던 동문과 배교하지 않고 시체가 되어 나온 시구문' 모두가 우리에게 한 시대의, 그러나 잊어서는 안 될 역사를 증언해 주고 있다. 오늘도 성지에는 순교자들의 전구가 깃들어 있다. [출처 : 차기진, 사목, 1999년 5월호]

단내 성지는 1866년 병인박해 때 남한산성에서 순교한 정은 바오로의 고향이자 유해가 묻혀 있는 곳입니다. 박해의 회오리가 단천리 교우촌에 몰아쳤을 때 포졸들은 정은 바오로를 붙잡기 위해 매봉에 숨어 망을 보았고, 당시 63세의 노인이었던 그는 추운 겨울날 낮에는 마을 뒤 ‘검은 바위’ 밑 굴속에 숨어 있다가 밤이면 내려와 잠을 자고 올라갔습니다. 그러다가 결국 체포되어 남한산성으로 끌려갔고, 이때 그의 형님의 손자인 정양묵 베드로가 병든 작은 할아버지를 모시고자 자진하여 잡혀갔습니다. 배교 강요에 끝까지 굴하지 않은 그들은 그해 말 백지사형을 받고 순교했습니다. 그들이 순교한 뒤 시체는 남한산성 동문 밖으로 시구문을 통해 던져졌는데 가족들이 몰래 정은 바오로의 시신을 찾아 이곳에 안장했습니다. 그러나 정양묵 베드로의 시신은 당시 함께 순교한 수많은 시신들 틈에 섞여 미처 찾아오지 못했습니다.

단내 성지는 한국에 존재하는 가장 오래된 교우촌 가운데 하나이며 김대건 신부의 사목활동지이기도 합니다. 아울러 한국 103위 순교성인 가운데 이천에서 태어났거나 체포되어 순교한 5위의 성인을 기념하는 곳입니다. 특히 단내가 가정성화를 위한 성가정 성지로 명명된 것은 성지에서 기념하는 5위의 성인과 순교자 중 이문우 성인을 제외하면 모두 가족 순교자이기 때문입니다. 수원교구에서는 2003년 기념성당과 5위 성인 순교비를 세우고, 지속적인 성지 개발과 성가정의 정신을 이어가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미사시간
미사구분요일시간기타사항
주일미사11:00 
평일미사11:00 7-8월과 1-2월에는 미사가 없습니다.
11:00 
11:00 
11:00 
11:00 매월 셋째 주 토요일 후원가족 및 가정성화를 위한 감사와 찬미의 미사


* 미사시간이 변동될 수 있으니 성지나 관련기관으로 전화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 , ,

0 Comments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45 명
  • 오늘 방문자 580 명
  • 어제 방문자 1,001 명
  • 최대 방문자 5,379 명
  • 전체 방문자 1,711,274 명
  • 전체 게시물 1,377 개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