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103 Saints 2 페이지 > CaminoKorea 까미노코리아
까미노코리아 - 자전거 순례길
성지순례
|
까미노코리아
|
자전거순례
|
gpx
|
산티아고
|
Santiago
0
CaminoKorea
About Camino Korea
Pilgrimage Origin
Camino Korea Emblem
Pilgrimage Stamps
After Pilgrimages
Korea Pilgrimage
Walking Pilgrimage
서울
인천
춘천
원주
수원
청주
대전
전주
광주
안동
대구
마산
부산
제주
의정부
기타
Bicycle Pilgrimage
서울
인천
춘천
원주
수원
청주
대전
전주
광주
안동
대구
마산
부산
제주
의정부
해외
Santiago Pilgrimage
준비
후기
비용
교통
항공
숙소
명소
기타
Global Pilgrimage
Pilgrimage Photo
서울
인천
춘천
원주
수원
청주
대전
전주
광주
안동
대구
마산
부산
제주
의정부
해외
Pilgrimage Video
Knowledges
Guide for Scheduling
Korea Martyrs Shrine
서울
인천
춘천
원주
수원
청주
대전
전주
광주
안동
대구
마산
부산
제주
의정부
Overseas Martyrs Shrine
SoutheastAsia
China
EU
Japan
America
Others
Korean 103 Saints
Korean 124 Blesseds
Catholic History
Pilgrimage News
성지
순례
음악
성화
박물관
역사
기타
Cooperators
Advanced Guiders
Cycle Leader
Walk Leader
History Commentator
Trainer
Others
Go Together(bicycle)
국내당일
국내숙박
아시아
유럽
오세아니아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기타
Walking Together - Seoul Pilgrimage
Restaurants
Korean Food
Western Food
Chinese Food
Fusion Food
Cafe
Convenience Store
Accommodations
Deluxe Hotels
Motels
Retreat Center
Temple Stay
Guest House
Others
Help Desk
Notice
Korea Martyrs Map
서울
인천
춘천
원주
수원
청주
대전
전주
광주
안동
대구
마산
부산
제주
의정부
해외
CaminoKorea
About Camino Korea
Pilgrimage Origin
Camino Korea Emblem
Pilgrimage Stamps
After Pilgrimages
Korea Pilgrimage
Walking Pilgrimage
Bicycle Pilgrimage
Santiago Pilgrimage
Global Pilgrimage
Pilgrimage Photo
Pilgrimage Video
Knowledges
Guide for Scheduling
Korea Martyrs Shrine
Overseas Martyrs Shrine
Korean 103 Saints
Korean 124 Blesseds
Catholic History
Pilgrimage News
Cooperators
Advanced Guiders
Go Together(bicycle)
Walking Together - Seoul Pilgrimage
Restaurants
Accommodations
Help Desk
Notice
Korea Martyrs Map
SHOP
Home
CaminoKorea
After Pilgrimages
Knowledges
Cooperators
Help Desk
0
Guide for Scheduling
Korea Martyrs Shrine
Overseas Martyrs Shrine
Korean 103 Saints
Korean 124 Blesseds
Catholic History
Pilgrimage News
Korean 103 Saints 103위 성인
Korean 103 Saints 103위 성인
홈 > Knowledges > Korean 103 Saints
Korean 103 Saints
검색조건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또는
그리고
검색
Hot
정의배 마르코
관리자
0
0
0
3660
2017.01.17
신분: 회장순교일: 1866-03-11관련성지: 새남터서울 창동(倉洞)에서 태어난 정의배는 유학(儒學)을 공부하다가 1839년 기해박해 때 서양 선교사의 순교 장면을 목격하고 감동하여 곧 교리를 배우고 입교하였다. 1845년 제3대 조선교구장 고 주교가 입국한 뒤 서울 지역의 회장이 되어 20여 년 동안 헌신적으로 일하였고, 1854년에는 성영회를 맡아 고아들을 돌보기도 하였다. 1866년 병인박해가 일어나자 2월 25일에 체포되었고, 3월 11일 푸르티에(Pourthié, 신요안(申妖安)) 신부, 프티니콜라 (Petitnicolas, 박덕노(朴德老)) 신부, 그리고 우세영(禹世英)과 함께 새남터에서 군문효수형을 받아 72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Hot
최형 베드로
관리자
0
0
0
3822
2017.01.17
신분: 회장순교일: 1866-03-09관련성지: 서소문 밖일명 ‘치장’으로도 불리는 최형은 충청도 홍주(洪州)에서 태어나 14세 때 부모의 권면으로 입교하였는데, 그의 가족은 모두 열심한 신자였다. 1836년 마카오 유학길에 올랐던 신학생들 가운데 병사한 최방제(崔方濟)가 그의 동생이다.큰누이는 평생 동정이었으며 형 최수(崔燧)는 병인박해 때에 절두산에서 참수되었다. 이렇게 독실한 교우 가정에서 자란 최형은 1836년 나 신부의 복사로 교회 일에 헌신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 때 체포되었다가 석방된 뒤 목수 일과 묵주 제작, 교회 서적 출판에 참여하였고, 장 주교가 입국한 뒤 교회 서적 출판의 책임자가 되어 큰 공로를 남겼다. 1866년 장 주교가 체포되면서 교회 서적들이 적발되자 전장운과 함께 체포되어 3월 9일 서소문 밖 형장에서 53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Hot
전장운 요한
관리자
0
0
0
3693
2017.01.17
신분: 상인순교일: 1866-03-09관련성지: 서소문 밖‘승연’으로도 불렸던 전장운은 서울의 교우 집안에서 태어나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어려운 생활을 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 때 체포되어 한 달 동안 옥살이를 하다가 혹형과 고문을 참지 못하여 배교하고 석방되었다. 그 뒤 어머니의 권면으로 배교한 것을 뉘우쳤지만, 사제가 없어 고해성사를 받을 수 없음을 한탄하였다. 1845년 김대건 신부가 입국하자 고해성사를 받고 열심한 신앙 생활로 교우들에게 모범을 보였고 혼인하여 3남매를 두었다. 1866년 초 장 주교의 명으로 교회 서적 출판에 참여하여 최형, 임치화를 도와 판각(板刻)을 마련하는 일을 맡았으나, 얼마 뒤 병인박해가 일어나 주교와 신부들이 체포되고 교회 서적들이 적발되는 바람에 전장운도 3월 1일에 체포되었다. 포청과 의금부에서 가혹한 형벌을 받은 뒤 3월 6일에 형조로 이송되었고, 3월 9일에 사형을 선고받아 그 날로 최형과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56세의 나이로 참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Hot
남종삼 요한
관리자
0
0
0
3703
2017.01.17
신분: 승지순교일: 1866-03-07관련성지: 서소문 밖남종삼은 충청도 충주(忠州)에서 태어나 남상교(南尙敎)의 양자가 되었다. 1843년 문과에 급제하고 1846년 경상도 영해 군수가 된 남종삼은 항상 재물과 부녀자를 멀리하고 청백리(淸白吏)로서 의덕과 겸손의 청빈한 생활을 하여 모든 이들에게 존경을 받았으나 동료 관리들에게는 시기와 경멸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관직에 따르는 미신행위로 인해 한때 교회를 떠난 적도 있었으나 다시 교회로 돌아와서는 신앙생활에만 전념했다.프랑스인 선교사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쳤고, 1863년 대원군의 명으로 정3품 승지(承旨)가 되어 왕족 자제의 교육을 맡았다. 그러던 중 1866년 러시아인들이 국경을 넘어와 통상을 요구하자 조정에서 문제거리로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때 남종삼은 홍봉주(洪鳳周), 이유일(李惟一)등과 논의 하여 영불(英佛) 동맹을 맺어 러시아의 남하를 견제하자는 소위 방아책(防俄策)을 대원군에게 건의했다. 대원군과 장 (베르뇌) 주교와의 면담이 이루어지는 듯 했으나 척신들의 압력, 장 주교와의 연락 지연, 중국에서의 천주교 박해 소문 등으로 실패했을 뿐더러 태도가 돌변한 대원군에 의해 병인 대박해가 일어나게 되었다.1866년 2월 고향인 제천에서 서울로 올라오던 남종삼은 중도에서 자신의 수배령이 내려졌다는 소식을 듣고 경기도 고양군 축베더리로 피신했으나 2월 25일 주교의 하인 이선이(李先伊…
Hot
볼리외 루도비코
관리자
0
0
0
3945
2017.01.17
신분: 신부순교일: 1866-03-07관련성지: 새남터‘볼리외’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서 루도비코 신부의 한국명은 서몰례(徐沒禮)이다. 서 신부는 1840년 프랑스 보르도 교구에서 태어나 1864년에 사제품을 받고, 이듬해에 백, 김, 민 신부와 함께 충청도 내포 지역으로 들어왔다. 그는 고해성사를 줄 만큼 한국말을 배운 뒤 공주 지방의 전교를 맡았지만, 임지에서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할 겨를도 없이 박해를 맞았다. 서 신부는 장 주교가 체포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경기도 광주 근처의 교우 집에 숨어 있었지만 1866년 2월 27일에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되었다. 그는 모진 고문을 잘 참아 내었고 여러 질문에도 한국말이 서투르다는 핑계를 대며 대답을 회피하였다. 마침내 그 해 3월 7일에 동료 신부들과 함께 새남터에서 참수되니 그의 나이 26세였다.
Hot
도리 헨리코
관리자
0
0
0
3861
2017.01.17
신분: 신부순교일: 1866-03-07관련성지: 새남터프랑스 뤼송 교구 출신인 김 신부는 파리 외방 전교회 소속으로 1864년에 사제품을 받고 듬해 5월 조선에 입국하여 용인 손골에 부임하였다. 순교하는 날까지 운명을 함께한 서 신부와 가깝게 지냈으며, 한국말은 서툴렀지만 천성이 온순하고 친절하여 교우들의 존경과 사랑을 받았다.그는 손골에서 지내는 동안 교우들이 자신을 ‘김 신부’라고 부르는 것을 자랑으로 여겨 기뻐하였는데, 그것은 한국에 김씨 성을 가진 순교자가 많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과연 김 신부는 자신의 소원대로 입국한 지 10개월 만인 1866년 2월 체포되어, 3월 7일 새남터에서 동료 사제들과 함께 27세의 나이로 참수되었다.
Hot
랑페르 브르트니애르 유스토
관리자
0
0
0
3733
2017.01.17
신분: 신부순교일: 1866-03-07관련성지: 새남터1866년 병인 박해 때에 순교한 파리 외방 전교회 선교사인 백 신부는 프랑스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1864년에 사제가 되었다. 수품 직후 동료인 김 헨리코, 민 루가, 서 루도비코 신부와 함께 고국을 떠나 이듬해인 1865년 5월 조선에 입국하였다. 서울에 도착한 백 신부는 정의배(丁義培) 회장의 집에 머물며 한국말을 배워, 박해가 시작될 무렵에는 교우들에게 고해성사를 줄 수 있을 정도가 되었다. 그는 정 회장이 체포된 다음 날인 1866년 2월 26일 장 주교의 하인이었던 이선이(李先伊)의 고발로 체포되어 갖은 문초와 형벌을 받았고, 3월 7일 새남터에서 28세의 나이로 장 주교와 함께 처형되었다.
Hot
베르뇌 시므온
관리자
0
0
0
3675
2017.01.17
신분: 제4대조선교구장주교순교일: 1866-03-07관련성지: 새남터‘베르뇌’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장 시므온 주교는 조선교구 제4대 교구장이며 한국명은 장경일(張敬一)이다. 프랑스의 르망 교구 출신인 장 주교는 1837년에 사제가 되었고 동양의 선교 지역인 베트남으로 건너갔다가 2년 동안 옥살이를 치렀다. 그 뒤 만주 요동 지역에서 10여 년 동안 활동하였고, 조선교구 제4대 교구장으로 임명되어 1856년 3월에 서울에 도착하였다. 깊은 신심과 신학을 겸비한 장 주교는 이 땅에서 10년 동안 사목 활동을 하면서 배론에 한국 최초의 신학교를 설립하고 서울에 인쇄소 두 곳을 설립하는 업적을 남겼다. 또한 당뇨병의 고통을 겪으면서도 사목에 힘쓰면서 여러 지역의 교우들을 열심히 돌보았다. 1866년 2월 23일에 체포되어 감옥에서 앞무릎에 곤장 열 대를 맞고도 고통스러운 기색을 조금도 보이지 않았으며, 3월 7일 백 유스토, 서 루도비코, 김 헨리코 신부와 함께 새남터에서 순교하였다.
Hot
유정률 베드로
관리자
0
0
0
3739
2017.01.17
신분: 회장순교일: 1866-02-17관련성지: 평양유정률은 평남 대동군 율리면 답현리(畓峴里, 일명 논재)에서 태어나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짚신을 엮어 팔며 어려운 생활을 하였다. 1864년경 교리를 배우고 서울로 올라와 장 시므온(베르뇌) 주교에게 세례를 받고 고향으로 돌아온 뒤 지난날의 잘못을 뉘우치며 극기하고 인내하는 생활을 하였고, 그의 달라진 모습을 본 아내도 감동하여 입교하게 되었다. 1866년 초 박해가 일어났다는 소문을 들은 유정률은 친척들에게 세배하면서 자신의 순교를 예감한 듯 “안녕히 계십시오. 지금 헤어지면 언제 다시 뵐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하고 인사하였는데, 과연 그 날 저녁 이웃 마을인 고둔리의 공소에서 교우들과 함께 성서를 읽다가 체포되어 평양 감영으로 끌려갔다. 유정률은 이미 체포된 100여 명의 교우와 함께 문초를 받았고, 다른 교우들은 혹형과 고문을 이기지 못하여 배교하였지만 그는 홀로 신앙을 지켰다. 이에 분노한 감사는 배교한 교우 100여 명을 시켜 그를 세 대씩 때리게 하였다. 결국 체포된 다음 날인 2월 17일, 유정률은 300여 대의 매를 맞고 30세의 나이로 숨을 거두었다.
Hot
정철염 가타리나
관리자
0
0
0
3499
2017.01.17
신분: 부인순교일: 1846-09-20관련성지: 옥사정철염은 경기도 수원(水原)의 교우 가정에서 태어나 포천의 어느 양반집 하녀로 들어갔는데, 주인집 가족 가운데 한 교우에게 교리를 배워 입교하였다. 20세 되던 해 동지날 미신 행위에 참여하라는 주인의 지시를 거부하였다가 혹독한 벌을 받았고, 이듬해 봄에 그런 일이 다시 일어나자 서울로 피신하여 교우들의 집에 몸붙여 살았다. 1845년에는 김대건 신부 집에 하녀로 들어갔고, 이듬해 김 신부가 체포되자 현석문 회장이 마련한 집에 숨어 있다가 7월 11일에 체포되었다. 9월 20일에 6명의 교우와 함께 30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Hot
이간난 아가타
관리자
0
0
0
3723
2017.01.17
신분: 과부순교일: 1846-09-20관련성지: 옥사서울의 외교인 가정에서 태어난 이 아가타는 18세 때 혼인하였다가 3년 만에 과부가 되어 친정으로 돌아왔다. 이 때 외할머니의 권유로 교리를 배우고 유방제(劉方濟) 신부에게 세례를 받았다. 1846년 병오박해가 일어나자 현석문 회장이 마련한 집에 숨어 있다가 7월 11일에 현석문, 김임이, 정철염 등과 함께 체포되었다. 9월 20일에 6명의 교우와 함께 33세의 나이로 교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Hot
김임이 데레사
관리자
0
0
0
3585
2017.01.17
신분: 동정녀순교일: 1846-09-20관련성지: 포청옥동정 순교자 김임이는 서울의 교우 가정에서 태어나 7세 때 이미 동정을 지키기로 결심한 뒤 신앙 생활에 전념하였다. 20세 때 아버지를 여읜 뒤 오빠와 함께 친척들의 집을 전전하였고,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난 뒤 이문우의 양모 오 바르바라의 집에서 5년 동안 살다가 1845년 김대건 신부의 집에 하녀로 들어갔다. 이듬해 5월 김 신부가 체포되자 당시 회장이었던 현석문은 김 신부의 집에 남아 있던 여교우들을 새 집으로 피신시켰는데, 7월 11일에 포졸들이 새 집에 들이닥쳤다. 그리하여 현석문, 이 아가타, 정철염 등과 함께 체포된 그는 9월 20일, 매를 심하게 맞아 거의 반죽음이 된 상태로 포청에서 6명의 교우와 함께 교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그의 나이 36세였다.
Hot
임치백 요셉
관리자
0
0
0
3949
2017.01.17
신분: 사공순교일: 1846-09-20관련성지: 옥사‘군집’(君執)으로도 불리던 임치백은 한강변의 한 부유한 외교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1830년에 천주교를 알았으나 입교하지는 않았고, 천주교와 천주교인을 호의적으로 대하기만 하였다. 1846년 5월 아들 임성룡이 김대건 신부와 함께 체포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아들이 갇혀 있는 옹진으로 가서 천주교인이라 속이고 자수하였다. 며칠 뒤 서울로 이송되어 포청에서 김대건 신부를 만나 교리를 배우고 곧 세례를 받아 순교를 결심하였다. 마침내 9월 20일 정오부터 해가 질 때까지 매를 맞고, 6명의 교우와 함께 43세의 나이로 교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Hot
우술임 수산나
관리자
0
0
0
3650
2017.01.17
신분: 과부순교일: 1846-09-20관련성지: 포청옥경기도 양주(楊洲)에서 태어난 우술임은 15세 때 인천의 한 교우와 혼인하여 남편의 권면으로 입교하였다. 1828년 체포되어 사형 선고를 받을 뻔하였으나 해산이 임박하여 두 달 동안 옥살이를 하고 풀려 나왔는데, 그 때 받은 고문의 후유증으로 평생 육체적 고통에 시달렸다. 남편을 여의고 1841년 상경하여 교우들의 집에 몸붙여 살다가, 과부인 이간난과 함께 살며 열심히 신앙 생활을 하였다. 1846년 5월 김대건 신부가 체포되자 김 신부의 집에 있던 여교우들은 이간난의 집을 거쳐 새 집으로 피신하였는데, 이 때 이간난도 함께 피신하였다. 결국 우술임은 혼자 남아 이간난의 집을 지키고 있다가 7월 11일에 체포되었다. 9월 20일에 매를 맞아 반죽음이 된 몸으로 포청에서 6명의 교우와 함께 교수형을 받아 44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Hot
한이형 라우렌시오
관리자
0
0
0
3888
2017.01.17
신분: 회장순교일: 1846-09-20관련성지: 포청옥충청도 덕산(德山)의 양반 집안에서 태어난 한이형은 14세 때 교리를 배워 입교하였다. 21세 때 혼인한 뒤 경기도 양지(陽智)의 은이 마을로 이사하였고, 정직하고 헌신적인 성격과 뛰어난 덕행, 모범적인 신앙 생활을 인정받아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1846년 7월 말에 포졸들이 은이 마을을 습격하리라는 소문을 듣고 가족들을 피신시킨 뒤 혼자 집을 지키다가 체포되어 그 자리에서 포졸들에게 심하게 매를 맞고 서울로 압송되었다. 압송될 때 이미 상처투성이의 몸이어서 포졸들이 그를 말에 태워 가려 하였으나 거절하고, 십자가를 지고 골고타에 오르신 예수님을 본받고자 백 리가 넘는 길을 맨발로 끌려갔다. 포청에서도 심한 형벌을 이겨 내고, 9월 20일 마지막으로 곤장 70대를 맞은 뒤 6명의 교우와 함께 교수형을 받아 48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초기화
날짜순
조회순
추천순
방문순
정렬
검색
1
2
3
4
5
6
7
Search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또는
그리고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
Login
Login
자동로그인
회원가입
|
정보찾기
with Social Login
Category
Guide for Scheduling
Korea Martyrs Shrine
Overseas Martyrs Shrine
Korean 103 Saints
Korean 124 Blesseds
Catholic History
Pilgrimage News
+
Posts
02.06
[서울 제3코스 안내] GPX 코스 파일 및 트레킹 앱을 이용하여 성지 찾아가기
02.06
[서울 제2코스 안내] GPX 코스 파일 및 트레킹 앱을 이용하여 성지 찾아가기
02.04
[서울 제1코스 안내] GPX 코스 파일 및 트레킹 앱을 이용하여 성지 찾아가기
02.04
2025년 희년 맞이 도봉동성당 순례자 여권 발간 및 서울대교구 성지순례 활성화 추진
02.04
성지와 성지순례 의미
+
Comments
관리자
06.13
[길위의목자양업,다시부치는편지](21) 천국닮은공동체일궜던서지마을가난했지만함께기도하며참행복누리다-최해성요한이…
관리자
06.13
[길위의목자양업,다시부치는편지](20) 신자들을위해만든천주가사주요교리노래로부르며쉽게익히도록도와-최양업신부가동…
관리자
06.13
[길위의목자양업,다시부치는편지](19) 1856년9월13일소리웃에서보낸열두번째서한오직하느님위해갇힌교우들현실상…
관리자
06.13
[길위의목자양업다시부치는편지](18) 최양업신부가족들이살았던수리산성지복음적희망으로살았던교우촌이자성소못자리-수…
관리자
06.13
[길위의목자양업,다시부치는편지](17) 최양업신앙의뿌리를찾다삶으로신앙살아낸선조들의믿음물려받아-탁희성화백의‘최…
관리자
06.13
[길위의목자양업,다시부치는편지](16) 1855년10월8일배론에서보낸열한번째서한기쁘게순교받아들인부모의신심되새…
관리자
06.13
[길위의목자양업,다시부치는편지](15) 배티성지하느님전하기위한목자의열정오롯이느껴져-배티성지에세워진최양업신부동…
State
현재 접속자
148 명
오늘 방문자
1,801 명
어제 방문자
1,540 명
최대 방문자
5,379 명
전체 방문자
1,971,497 명
전체 게시물
1,385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