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 숨은 이야기] 26. 양말론과 빈병론

Pilgrimage News 성지순례 뉴스
홈 > Knowledges > Pilgrimage News
Pilgrimage News

[교회사 숨은 이야기] 26. 양말론과 빈병론

관리자 0 1237 0

“천주교는 아주 공평해서 아무 발에나 다 맞는 버선과 같다네”

[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26. 양말론과 빈병론

2020.11.15발행 [1588호]

3232235521_vpk7K19Z_dd22e10c75c34fe21a6f2d20fee774046a3e85e6.jpg
▲ 나열의 <서학>시. 나열의 문집인 「해양유고(海陽遺稿」(일본 동양문고 소장본) 권 1에 실려있다.



우리는 한 형제다

양반과 상놈의 구분이 없고 남녀를 차별하지 않는, 이제껏 들어본 적이 없던 공동체에 대한 소문은 소곤소곤 금세 원근으로 퍼져 나갔다. 믿기만 하면 노비 문서도 불태운다더라, 가난한 이에게는 옷과 양식도 아낌없이 나눠준다더라고들 했다. 하나라도 더 못 가져 안달하던 사람들이, 제 것을 나눠주면서 행복하다 못해 아련한 표정까지 짓는 것이 좀체 이해되지 않았다. 그 못되고 심술궂던 시어머니가 어느 날 문득 며느리를 친딸 위하듯 하고, 술만 마시면 세간을 부수고 아내를 때리던 술꾼이 그날로 영판 딴사람이 되었다. 이웃들은 고개를 갸웃하지 않을 수 없었다. 대체 저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

충청도 면천 사람 유군명 시메온은 양반 신분이었고, 효자로 이름난 사람이었다. 그는 양친이 세상을 떠났을 때도 정성껏 제사를 모셨다. 59세 때 그는 덕산 황모실로 이사해 천주교에 입교했다. 이존창에게 세례를 받고는 다른 사람으로 거듭났다. 유군명은 노비를 모아 놓고 노비 문서를 불태웠다. 우리는 이제 천주 대전에 아무 차별 없는 한 형제라고 선언한 것이었다. 그는 자신의 재물을 흩어 가난하고 불행한 이들에게 나눠주었다. 이후 그는 속량 노비 출신의 이존창을 도와 천주교를 가르치고 포교하는 일에 오로지 헌신했다.

신유박해가 있던 1801년 5월에 체포된 그는 갖은 고문에도 다른 교우를 한 명도 고발하지 않고, 끝까지 배교도 하지 않았다. 먼 지방으로 귀양 가서도 흔들림 없이 신자의 본분을 지켰다. 다만 성경을 지녀가지 못한 것만 원통스레 여겼다. 그는 82세의 나이로 유배지에서 죽었다. 그가 보인 신앙의 모범이 그 지역 주민들까지 감화시켰다. 그는 그들의 찬양과 감탄을 받으며 꿇어앉아 기도를 드리던 모습으로 세상을 떴다. 달레의 「조선천주교회사」에 나온다.

「눌암기략」의 한 단락은 또 이렇다. “사학하는 무리의 법문(法門)은 재물을 함께 나누고 여색을 함께 하는 까닭에 과부와 홀아비 및 가난하여 스스로 먹고살 수 없는 자들이 모두 기꺼이 내달아 가곤 하였다. 비록 천한 종놈이라도 한번 그들의 무리에 들어가면 마치 형제처럼 보아 등급이 있는 줄을 몰랐으니, 이것이 그들이 어리석은 백성을 속여 미혹시키는 꾀였다.” 이 글은 삐딱한 시선으로 천주교를 바라본 언급이고, 내부자들에게 이같은 나눔의 공동체가 어떠한 기쁨과 일체감을 주었을지는 상상하기 어렵지 않다.

실제 지역 교회의 하부 조직에는 이존창 외에도 신분이 미천한 지도자들의 존재가 포착된다. 박종악의 「수기」에는 여사울의 천한 부류의 지도자로 최뚝쇠(崔斗古金)에 대한 기록이 보인다. 그는 서학을 오래 익혀 교리에 깊이 통달한 사람이었다. 인근의 서학을 믿는 백성들이 대부분 그를 높여 존장(尊長), 즉 어르신으로 불렀다고 했다. 이들에게 신분은 조금도 중요하지 않았다. 그보다는 교리에 대한 이해도가 훨씬 더 중요했다.



이 버선을 신어보게!

1794년 주문모 신부가 조선에 밀입국했을 때, 당시 천주교 신자들의 소원은 오로지 신부를 직접 만나보는 것이었다. 하지만 신부의 일거수일투족은 철저하게 비밀에 부쳐져, 결코 아무나 만날 수가 없었다. 1839년에 순교한 신태보 바오로가 감옥에서 쓴 편지는 창립 초기 자료를 수집하던 샤스탕(Chastan) 신부의 명에 따라 작성한 글이었다.

신태보는 친척 이여진 요한과 함께 신부를 한 번이라도 만나보려는 소원을 이루려 애를 썼지만, 끝내 이루지 못했다. 140리 떨어진 서울까지 무려 18번이나 올라왔어도 소용이 없었다. 이를 딱하게 여긴 한 교우가 장에서 버선 한 켤레를 꺼내더니 신어보라고 했다. 어린아이의 발도 들어가지 않을 작은 버선이었다. “어른더러 어떻게 아이 버선을 신으라는 겐가?” “아무 말 말고 한번 신어나 보게.” 그러자 놀랍게도 그 작은 버선이 신태보의 발에 쏙 들어가는 것이 아닌가? 이것이 양말(洋襪), 즉 서양 버선을 처음 접한 조선 사람의 이야기다.

당황한 신태보에게 그 교우가 말했다. “천주교는 아주 공평한 것이라네. 어른도 아이도, 양반도 상놈도 없지. 부드럽고 탄력이 있어서 아무 발에나 다 맞는 이 버선과 같다네. 자네도 열심히 하기만 하면 신부를 만나볼 수 있을 걸세. 조금만 애를 쓰면 누구나 이 버선을 신을 수 있듯이 말이야.” 평면 재단이어서 버선본 없이는 발에 꼭 맞는 버선을 지을 수 없던 당시에, 양털로 만든 신축성 있는 서양 버선은 이들에게는 또 하나의 문화 충격이었다. 신태보와 함께 갔던 이여진의 경우는 신부를 만나 본격적인 신앙생활을 하기 위해 서울로 이사까지 했다. 하지만 그는 결국 신부가 사형당해 죽었다는 소식을 들을 때까지 단 한 번도 신부의 얼굴을 보지 못했다.

천주교인들의 이 같은 공동체는 외부자의 시선에서는 해괴한 변고에 지나지 않았다. 「눌암기략」의 다음 기술을 읽어 보자. “이른바 사학이란 학문은 그 주장이 불교의 남은 투식에서 나왔다. 또 경전의 말을 가지고 서로 꾸며서 이것으로 천하를 바꾸려 드니, 그것이 가능하겠는가? 우리 유학이 어찌 일찍이 하늘을 공경하고 하늘을 두려워하지 않았겠는가? 그런데도 저들이 하늘을 섬긴다는 것은 도리어 상제를 빌려다가 속이는 것이다. 그렇다면 저들의 무리는 이것으로 복을 구하려다가 도리어 재앙을 부르고 말 것이다. 어째서 그런가? 저들이 높은 하늘을 큰 부모로 여기고, 다시 낳고 길러주신 은혜는 알지 못한 채, 벌거벗은 몸으로 한 방에서 섞여 지내며 남녀의 구별조차 없으니, 이는 거의 짐승만도 못한 것이다.”

유학의 입장에서 보면 남녀가 구분 없이 한 방에 앉아 요사스런 서양인의 형상 앞에 엎드려 기도하며 밤을 새우는 것은 변괴에 가까웠다. 박종악은 「수기」에서 “부자지간이라도 아들이 사학을 하는데 아비가 하지 않으면 아비를 아비로 여기지 않고 다른 무리라고 지목합니다. 아비가 비록 남에게 구타와 모욕을 당하더라도 가만히 보기만 하고 구하지 않습니다. 사학이 사람을 깊이 빠뜨리는 것이 이와 같습니다”라고 적기까지 했다. 관리들의 눈에 그들은 윤리를 무너뜨리는 멸륜패상(滅倫敗常)의 무리였을 뿐이었다.



부모가 빈 병인가?

나열(羅烈, 1731~1803)이 1790년에 지은 <서학(西學)>이란 장시가 있다. 그의 문집 「해양유고(海陽遺稿)」에 나온다. 시의 제목을 아예 서학으로 내건 시는 처음 본다. 그런 만큼 내용이 대단히 흥미롭다. 몇 단락만 간추려 읽어보자. “서학은 천주를 위주로 하여, 부모를 빈 병처럼 여기는구나. 자신을 병 속 물건처럼 보거니, 따른 뒤엔 병에 무슨 정이 있겠나.(西學主天帝, 父母視空甁. 自同甁中物, 脫來甁何情.)” 부모는 병이고, 나는 그 병에 담겼던 술과 같다. 술을 잔에 따르고 나면 술이 병에 대해 무슨 애틋한 정이 있겠는가? 이것이 이른바 ‘빈병론’이다. 천주교를 부모와 자식 간의 인륜을 끊는 패륜 집단으로 내몰고, 남녀의 분별을 허무는 난륜(亂倫)의 무리라고 비난하는 것은 당시 박해자들이 입만 열면 하던 얘기였다. 시가 다시 이렇게 이어진다.

“학술이야 1천 가지 갈래 있어도, 살기를 좋아함은 한 가지라네. 어이해 목숨을 매개로 삼아, 베여 죽음 즐겨함에 이른단 말가. 줄줄이 감옥에 묶여 들어와, 매질 채질 온갖 형벌 두루 받누나. 처음 한 말 바꾸려 들지 않고는, 그저 빨리 죽기만을 원한다 하네. 묻노라 죽는 것 왜 소원하나? 혼백이 천당에 오른다 하네. 천당은 화려하고 깨끗도 하여, 그 즐거움 몹시도 대단하다고.(學術雖千, 好生則同貫. 云何媒性命, 至乃樂斬斷. 累累繫刑獄, 榜備楚毒. 不肯易初辭, 但願速就戮. 借問戮何願, 魂魄升天堂. 天堂麗且淨, 其樂孔揚揚.)” 박해의 현장에서 지켜본 천주교 신자들의 태도를 묘사한 대목이다. 잔혹한 형벌에도 그들은 배교하지 않고, 그저 ‘예수 마리아’를 외치며 속히 죽여달라고만 했다. 어서 빨리 천당에 올라가 그 끝없는 즐거움을 누리겠다는 소망이었다. 나열의 이 시는 진산사건 이전에 지은 것이어서, 그가 직접 목격한 현장이 어디였는지는 분명치 않다.

다시 이어지는 한 대목이다. “상제가 어이 중치 않으랴마는, 베푸는 바 멀고도 가까움 있네. 가장 먼저 부모 배반 가르치는 건, 천주의 교리에도 어긋난다네. 차례 건너 아첨하여 섬기는 것은, 밝은 신(神)도 틀림없이 옳다 않으리. 오늘날 베어져 죽임당하니, 죄 얻음이 진실로 그럴 수밖에. 스스로 그 구함을 얻는다면서, 슬픔 감춰 하늘을 속이는구나.(上帝豈不重, 所施有遠近. 首敎畔其親, 已非帝所訓. 越序而諂事, 明神必不. 見今受誅鋤, 獲戾固其然. 自言得其求, 匿哀誣上玄.)”

그들은 믿지 않으면 부모조차 원수로 여긴다. 부모를 저버리고 천주를 섬기겠다니, 이는 십계명에도 어긋나는 것이 아닌가? 세상을 떠난 제 부모의 제사는 거부하면서, 노비 문서를 불태우며 만유 위에 모든 이가 평등하다 외친다. 인륜을 저버린 채 이웃을 내 몸처럼 사랑하는 것이 가능한가? 남녀의 분별을 잃고 한 방에 떼로 모여 앉아 밤을 새우니, 이런 꼴을 어찌 보고만 있을 수 있겠는가? 이러니 베어 죽임을 당해 마땅하다고 했다. 당시 서학에 대한 평균적 시선이 이러했다.


3232235521_5yWislLO_2eb70adc49229c16f44a7d3a9bdc7c0f0e151b04.jpg
                                                    정민 베르나르도(한양대 국문학 교수)

0 Comments
Hot

인기 [교회사 숨은 이야기] 39. 내겐 천국이 두 개입니다

댓글 0 | 조회 1,300 | 추천 0
“천한 백정을 점잖게 대해 주니 내게는 천국이 두 개 있습니다”[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39. 내겐 천국이 두 개입니다2021.02.21발행 [1601호]▲ 180… 더보기
Hot

인기 [교회사 숨은 이야기] 38. 밀정 조화진

댓글 0 | 조회 1,319 | 추천 0
신자로 위장한 밀정 조화진에 의해 내포 교회 핵심 세력 궤멸[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38. 밀정 조화진2021.02.07발행 [1600호]▲ 탁희성 화백이 그린 복… 더보기
Hot

인기 [교회사 숨은 이야기] 37. 1400대 곤장을 버틴 사내, 박취득

댓글 0 | 조회 1,341 | 추천 0
곤장 1400대 맞고도 신앙 증거… 풀뿌리 교회의 횃불이 되다[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37. 1400대 곤장을 버틴 사내, 박취득2021.01.31발행 [1599호… 더보기
Hot

인기 [교회사 숨은 이야기] 36. 자책하는 인간, 최해두

댓글 0 | 조회 1,327 | 추천 0
“만일 이 모양으로 죽게 되면 어찌 한심하고 가련하지 않겠는가”[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36. 자책하는 인간, 최해두2021.01.24발행 [1598호]▲ 1801… 더보기
Hot

인기 [교회사 숨은 이야기] 35. 면천 군수 박지원과 김필군

댓글 0 | 조회 1,287 | 추천 0
연암 박지원, 지도자급 골수 천주교 신자 김필군을 방면하다[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35. 면천 군수 박지원과 김필군2021.01.17발행 [1597호]▲ 연암 박지… 더보기
Hot

인기 [교회사 숨은 이야기] 34. 연암 박지원과 이희영 형제

댓글 0 | 조회 1,275 | 추천 0
실학자 박제가, 서양 선교사 초빙을 정조 임금에게 진언하다[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34. 연암 박지원과 이희영 형제2021.01.10발행 [1596호]박지원과 박제… 더보기
Hot

인기 [교회사 숨은 이야기] 33. 예수상 전문 화가 이희영

댓글 0 | 조회 1,378 | 추천 0
성물 반입 어려워지자 기도문과 성화 책판에 찍어 보급하다[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33. 예수상 전문 화가 이희영2021.01.01발행 [1595호]▲ ‘선미도’. … 더보기
Hot

인기 [교회사 숨은 이야기] 32. 정광수의 성물 공방

댓글 0 | 조회 1,305 | 추천 0
대궐 옆 동네 벽동에 집회소 만들어 미사 봉헌하고 성물 보급[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32. 정광수의 성물 공방2020.12.25발행 [1594호]▲ 「청구요람」에 … 더보기
Hot

인기 [교회사 숨은 이야기] 31. 잇닿은 담장

댓글 0 | 조회 1,325 | 추천 0
포도청 감시망 피해 신자 가옥 담장 사이에 비밀 통로를 만들다[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31. 잇닿은 담장2020.12.20발행 [1593호]▲ 강완숙 골룸바가 왕족… 더보기
Hot

인기 [교회사 숨은 이야기] 30. 란동(lan tong)과 판쿠(fan kou)

댓글 0 | 조회 1,307 | 추천 0
가성직 신부들이 난동과 반촌에서 미사와 성사를 베풀다[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30. 란동(lan tong)과 판쿠(fan kou)2020.12.13발행 [1592호… 더보기
Hot

인기 [교회사 숨은 이야기] 29. 초기 교회의 성화와 성물

댓글 0 | 조회 1,288 | 추천 0
순교자 모발이나 피가 묻은 나무 조각을 성물로 몸에 지니다[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29. 초기 교회의 성화와 성물2020.12.06발행 [1591호]▲ 1925년 … 더보기
Hot

인기 [교회사 숨은 이야기] 28. 반주인(泮主人) 김석태

댓글 0 | 조회 1,349 | 추천 0
이승훈과 정약용, 동반촌 김석태 집에서 「조만과경」 바치고 미사 봉헌[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28. 반주인(泮主人) 김석태2020.11.29발행 [1590호]▲ 김… 더보기
Hot

인기 [교회사 숨은 이야기] 27. 초기 천주교인의 제사관

댓글 0 | 조회 1,313 | 추천 0
초기 천주교인, 구베아 주교 제사 금지령 이전부터 제사에 거부감[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27. 초기 천주교인의 제사관2020.11.22발행 [1589호]▲ 1791… 더보기
Now

현재 [교회사 숨은 이야기] 26. 양말론과 빈병론

댓글 0 | 조회 1,238 | 추천 0
“천주교는 아주 공평해서 아무 발에나 다 맞는 버선과 같다네”[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26. 양말론과 빈병론2020.11.15발행 [1588호]▲ 나열의 <서… 더보기
Hot

인기 [교회사 숨은 이야기] 25. 여사울은 예수골이었다

댓글 0 | 조회 1,179 | 추천 0
19세기 초반 천주교 신자들은 ‘야소(耶蘇)’를 ‘녀슈’로 읽었다[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25. 여사울은 예수골이었다2020.11.08발행 [1587호]▲ 19세기… 더보기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154 명
  • 오늘 방문자 879 명
  • 어제 방문자 1,091 명
  • 최대 방문자 5,379 명
  • 전체 방문자 1,869,072 명
  • 전체 게시물 1,379 개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