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54) 프란체스코 포데스티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 교의 선포’

Pilgrimage News 성지순례 뉴스
홈 > Knowledges > Pilgrimage News > 성화
Pilgrimage News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54) 프란체스코 포데스티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 교의 선포’

관리자 0 1734 0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54) 프란체스코 포데스티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 교의 선포’


비오 9세 교황 ‘원죄없이 잉태되신 성모 교리’ 반포하다

 

 

프란체스코 포데스티,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 교의 선포’(1859~1860), 바티칸박물관.

 

 

프랑스 대혁명과 나폴레옹 시대 혁명 정부의 영향은 유럽 봉건주의 체제의 종말과 민족 자결주의가 싹트는 계기가 되었다. 외세의 지배에서 벗어나 하나의 통일된 민족 국가를 이룩하려는 열망은 특히 이탈리아를 자극했다. 그러나 그것은 절대 쉽지 않은 것이었다. 로마 제국 붕괴 이후 오랜 자치 국가주의를 넘어야 하고, 당시 북부 이탈리아를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던 오스트리아를 몰아내야 하며, 교황청의 반대를 극복해야 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그레고리오 16세 교황의 뒤를 이어 이탈리아 마르케주 안코나현의 작은 도시 세니갈리아 출신의 조반니 마리아 마스타이 페레티(Giovanni Maria Mastai-Ferretti)가 제255대 비오 9세 교황으로 선출됐다. 콘클라베는 이탈리아 정치가 매우 불안정한 가운데서 진행됐고, 그래서 비(非) 이탈리아인 추기경들의 많은 불참 속에서 진행됐다. 여기에서 54세의 젊은 추기경이 교황이 되어 교회사에서 성 베드로(34년) 다음으로 오래 재임한 교황(32년)으로 이름을 남겼다.

 

 

비오 9세 교황과 교황령

 

복자 비오 9세 교황은 선출과 동시에 프랑스 대혁명의 여파로 이탈리아 반도에 불어닥친 자유와 통일의 열망과 그것을 실행해 옮기는 ‘부흥 운동(리소르지멘토)’과 맞닥트려야 했다. 신심이 깊고 지성과 인품을 두루 갖춘 교황은 모든 사람을 열린 마음으로 대했다. 교황이 되어 가장 먼저 한 일도 교황령 내에 수감 중이던 정치 사범들을 모두 사면하는 일이었다. 그러나 사면된 ‘혁명주의자’들은 곧 과거 자신들이 하던 활동을 재개했고, 그것은 교황령의 종식에 불씨가 됐다.

 

당시 이탈리아는 통일을 위해 오스트리아가 차지하고 있던 이탈리아 북부 지방을 탈환하려는 계획을 세웠고, 비오 9세의 참여를 압박했다. 그러나 교황은 장화 반도뿐 아니라 보편 교회의 수장으로서, 현세의 국가주의를 초월하는 위치에 있다고 주장하며, 더욱이 같은 신앙을 고백하는 가톨릭 국가를 상대로 한 전쟁에는 동참할 수 없다며 발을 뺐다. 민족주의가 팽배하던 이탈리아는 교황이 이탈리아를 배반했다고 외치며, 이참에 교황령의 종식을 부르짖었다.

 

한편, 비오 9세는 교황청의 영적인 독립을 주장하며 교황령을 헌법 정부로 만들고자 했다. 하지만 얼마 못 가 이탈리아 통일의 급물살 속에서 급진주의자들의 격렬한 저항에 부딪히고 말았다. 1848년 11월 15일, 교황령의 초대 총리였던 로씨(Pellegrino Ross)는 암살되고, 다음날 스위스 근위대의 무장이 해제되며, 교황은 바티칸 궁전에 감금됐다. 평범한 사제복으로 갈아입고 겨우 로마를 빠져나와 나폴리 왕국의 가에타로 피신한 교황은 음모에 가담한 관련자 전원을 파문했다. 그 틈에 이탈리아 통일의 당위성을 설파했던 정치사상가 마치니(1805~1872)와 그의 추종자들은 ‘이탈리아 공화국’을 선포하고 수도를 로마로 지정(1849년 1월)했다.

 

교황은 프랑스 원정군의 도움으로 1850년 4월 12일 로마로 귀환했으나, 프랑스 혁명과 로마의 독립운동이 상호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깨닫고 전통 사회는 물론 도덕과 종교 질서까지 붕괴할 것임을 예견했다. 17개월의 망명에서 돌아온 뒤, 앞서 로마 공화국에서 벌인 여러 가지 사업을 폐지하고 복구를 단행했다. 국가 재정은 엄청난 빚으로 파탄 상태에 가까웠고, 행정은 말이 아니었다. 교황의 지속적인 개혁과 통제하에서 경제와 행정은 8년 만에 회복 분위기로 돌아섰고, 시민들의 세금 부담은 유럽 평균보다 훨씬 낮았다. 그 결과 외국인 거주자들이 대거 로마로 유입했는데, 다수는 가톨릭 신자가 아니었다.

 

 

문화·개량 사업 적극적으로 펼쳐

 

비오 9세 교황은 1850년 8월 14일 유럽에서 처음으로 청각 장애인들을 보호하고 교육하기 위한 법적 규정을 마련했다. 또 그해 9월 12일 자의 교서를 통해 교황청 자문위원회를 재구성하고, 재정위원회를 신설하며, 광범위한 사면을 단행했다. 그 덕분에 1850년대 교황령은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이룰 수가 있었다. 19세기 중반, 교황령에서 시작되거나 이룩한 주요 공공사업은 ①페라라와 오스티아 습지 간척 사업 ②라벤나에서 안코나까지 항구를 확장하고, 일부 항구에 새 등대 설치 ③알바노와 아리챠 구간을 포함해 20여 개의 주요 도로에 고가 건설, 도로 현대화 ④통신망을 구축해 교황령 내 모든 주요 시설과 직접적인 소통 모색 ⑤1823년 7월 15일 화재로 새로 지은 성 밖의 성 바오로 대성전 축성(1854년 12월 9일) ⑥철도 건설 등이다.

 

1852년 1월 비오 9세 교황은 피렌체, 모데나, 파르마와 함께 이탈리아에서 처음으로 우표 사용을 도입했다. 185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교황령은 면적 기준으로 장화 반도에서 나폴리와 사르데냐 왕국에 이어 세 번째 국가로 이름을 올렸다. 비오 9세는 재임 기간 장애인을 위한 전문학교와 노동자들을 위한 야간 학교를 신설해 교육 혁신을 가져왔다. 종일반 어린이 학교를 개설해 종일 일하는 학부모들의 고충을 해결해줬다. 대학교 교직원들의 급여를 인상하고, 대학 교육에 지질학, 농업 과학, 고고학, 천문학 및 식물학을 추가했다. 산부인과 병원, 박물관과 천문대도 여럿 문을 열었다. 신학 과정에 있는 학생들에게는 엄격한 양성을 요구했고, 해외 유학생들에게는 아낌없는 재정적 지원을 해 줬다.

 

비오 9세 교황은 대다수 전임자와 마찬가지로 예술을 후원하는데도 소홀하지 않았다. 모든 예술 분야를 후하게 지원하고, 각 분야의 대표에게는 많은 상을 수여했다. 로마에 있는 두 개의 극장은 교황의 모든 검열에서 면제됐다. 역사 유적지에 있는 성벽, 분수, 도로와 다리들도 복원하며, 로마의 유적지 발굴을 명해 많은 중요한 유물들을 발견하도록 했다. 당시 무너질 위기에 처한 콜로세움을 보수했고, 카타콤바 발굴을 위해 엄청난 돈을 쓰기도 했다. 1853년 고고학 위원회도 신설해 성 칼리스토 카타콤바 발굴을 주도했다. 페루지아, 오스티아, 베네벤토, 안코나, 라벤나 등지에서 에트루리아 유적과 고대 로마의 기념물을 발견, 복원하기도 했다. 교황령이 이탈리아 왕국에 합병되기 20년 전, 로마 외곽 대부분 지역에서 개량 사업이 완성되고, 로마시 상수도 사업은 마무리 단계에 있었다. 유럽의 어느 사회보다도 로마를 비롯한 교황령에서 진행된 현대화는 괄목할 만했다.

 

그러나 뭐니뭐니해도 비오 9세가 가톨릭 신자들의 신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건 1854년 12월 8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 교리를 선포한 것이다. 400여 개 언어로 번역된 교서 「형언할 수 없는 하느님(Ineffabilis Deus)」을 통해 선포된 이 교리는 뒤이어 개최하게 될 제1차 바티칸 공의회를 암시하는 것이기도 했다. 교리는 교황의 수위권과 무류성을 토대로 선포됐고, 이 두 가지 권한은 제1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다룬 가장 큰 주제였기 때문이다.

 

 

역사 회화의 마지막 주자

 

소개하는 작품은 하예츠, 베추올리와 더불어 1800년대 이탈리아를 이끈 최고의 화가로 알려진 포데스티(Francesco Podesti, 1800~1895)가 그린 프레스코화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 교의 선포’(1859~1861)이다.

 

작가는 나폴레옹 시절, 안코나의 소박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부친은 재봉사로 도시에 주둔한 프랑스 군대와 수비대의 군복을 수선하는 일을 했다. 파비아에서 군(軍) 건축을 공부하던 중 부모를 모두 잃고, 그 시기에 회화에 대한 예술적 재능을 보여, 안코나시에서 지급하는 장학금으로 로마의 성 루카 아카데미에서 10년간 고전 미술과 역사 회화를 공부했다. 그 시기에 카노바를 만나 부정(父情)을 느끼며 예술가로 성장했고, 다비드(Jacques-Louis David)와 이상을 공유하는 친구가 되었다.

 

포데스티는 1826년부터 예술 공부를 위해 피렌체, 피사, 볼로냐, 파르마, 베네치아와 밀라노 등지를 여행했다. 나폴리, 폼페이, 에르콜라노 등도 방문해 고대 미술을 만났다. 이후 그는 작품을 통해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역사적 낭만주의에 권력과 감정의 조화를 모색했다. 그것은 시민 정신으로 일컫는 용기와 자유에 대한 사랑을 부각하는 것이기도 했다.

 

학문주의와 낭만주의 사이에서 ‘역사 회화’의 마지막 주자로 런던과 파리 등 유럽 전역에서 크게 명성과 영광을 얻었고, 1895년 95세의 나이로 로마에서 사망했다.

 

 

그림 속으로

 

바티칸박물관, 라파엘로의 방으로 가는 길목에 1854년 12월 8일 비오 9세 교황이 선포한 ‘마리아 교의’ 장면이 그려진 대형 프레스코화가 있다. 1861년 중요한 교황령이었던 로마시를 이탈리아 왕국에 빼앗긴 민감한 순간에 안코나 출신의 프란체스코 포데스티가 방의 세 벽면에 교황의 권한을 암시하는 세 개의 벽화를 그린 것이다. ‘옥좌에 앉은 교회’, ‘교의 선포’, ‘동정녀의 대관식’에 대륙들이 무릎을 꿇고 있다.

 

이 작품은 ‘교의 선포’에 해당하는 것으로, 삼위일체 하느님께 둘러싸인 동정 마리아를 중심으로 천상 그룹과 지상 그룹으로 나뉘어 예언자, 사도 등 구약, 신약의 인물들과 당시 교회를 이끌었던 교회 인사들이 한자리에 있다.

 

[가톨릭평화신문, 2021년 10월 3일, 김혜경(세레나, 부산 가톨릭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동아시아복음화연구원 상임연구원)]


0 Comments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48) 자코모 조볼리의 ‘성 빈센트 드 폴의 설교’

댓글 0 | 조회 1,767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48)자코모조볼리의‘성빈센트드폴의설교’사랑의혁명가,소외된이들에게십자가의빛을비추다-자코모조볼리,‘성빈센트드폴의설교’(1737),룬가라의코르시니궁(Pala…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32) 젠틸레 벨리니의 ‘그리스도의 성 십자가 유물함에 그려진 베사리온 추기경’

댓글 0 | 조회 1,902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32) 젠틸레벨리니의‘그리스도의성십자가유물함에그려진베사리온추기경’비잔틴을지키고싶은간절한눈빛-젠틸레벨리니,‘그리스도의성십자가유물함에그려진베사리온추기경’…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16) 무명 화가의 ‘필리오케 교리’

댓글 0 | 조회 1,542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장면] (16)무명화가의‘필리오케교리’삼위일체교리논쟁,동·서교회분열의기폭제로작용-프랑스볼봉에서1450년경소개된‘필리오케(Filioque)교리’,파리루브르박물관.… 더보기
Hot

인기 정웅모 신부의 박물관, 교회의 보물창고 (60) 프랑스 파리의 ‘오르세 미술관’

댓글 0 | 조회 3,381 | 추천 0
정웅모 신부의 박물관, 교회의 보물창고 (60) 프랑스 파리의 ‘오르세 미술관’ 옛 기차역의 정취, 예술 공간의 깊이를 더하다 긴 열차 많이 운행되며 승강장 협소해져 1939년 역… 더보기
Hot

인기 정웅모 신부의 아름다운 성화 아름다운 인생 (19) 어린 아이의 눈에 사제는 예수님처럼 보이고

댓글 0 | 조회 2,404 | 추천 0
정웅모 신부의 아름다운 성화 아름다운 인생 (19) 어린 아이의 눈에 사제는 예수님처럼 보이고하느님 집을 찾아서 기도하는 성가정예수·마리아·요셉으로구성된 성가정 가족들이성전 방문하… 더보기
Hot

인기 정웅모 신부의 아름다운 성화 아름다운 인생 (3) 사제는 물가에 서 있는 어린아이 같다

댓글 0 | 조회 2,449 | 추천 0
정웅모 신부의 아름다운 성화 아름다운 인생 (3) 사제는 물가에 서 있는 어린아이 같다아들의 한평생 고행의 삶 내다보시다소년 예수 앞날 걱정하는 성모님의 슬픔 담겨있어근심하던 어머…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47) 바치챠의 ‘예수 이름의 승리’

댓글 0 | 조회 1,620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47)바치챠의‘예수이름의승리’예수님이비추는찬란한황금빛이모두에게-바치챠,‘예수이름의승리’(1685년),예수성당내중앙본당천장,이탈리아로마.트렌토공의회는여러…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31) 베노초 고촐리의 ‘동방 박사들의 행렬’

댓글 0 | 조회 1,861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31)베노초고촐리의‘동방박사들의행렬’비잔틴학자와저명인사들의화려한방문,르네상스를견인하다-베노초고촐리,‘동방박사들의행렬’(1459~1460),메디치리카르디…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장면] (15) 레지스트룸 그레고리의 ‘제국의 네 영토를 상징하는 여성과 오토 2세의 초상’

댓글 0 | 조회 1,658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장면](15)레지스트룸그레고리의‘제국의네영토를상징하는여성과오토2세의초상’주교의지팡이목장(牧杖)을든황제,교황권을누르다-레지스트룸그레고리(RegistrumGrego… 더보기
Hot

인기 정웅모 신부의 아름다운 성화 아름다운 인생 (34) 은총의 따사로운 햇살이 온 얼굴에 가득 비치고

댓글 0 | 조회 3,028 | 추천 0
정웅모 신부의 아름다운 성화 아름다운 인생 (34) 은총의 따사로운 햇살이 온 얼굴에 가득 비치고예수님 부인한 베드로 사도 인간적 모습으로 표현화가는 이 작품에서 예수님을 부인한 … 더보기
Hot

인기 정웅모 신부의 아름다운 성화 아름다운 인생 (18) 주님은 항상 우리와 동행하지만 우리는 그분을 잘 알아보지 못한다

댓글 0 | 조회 2,443 | 추천 0
정웅모 신부의 아름다운 성화 아름다운 인생 (18) 주님은 항상 우리와 동행하지만 우리는 그분을 잘 알아보지 못한다‘엠마오의 만찬’통해 예수님을 알아보다빵을 나누어 주시는 예수님과… 더보기
Hot

인기 정웅모 신부의 아름다운 성화 아름다운 인생 (2) 아시시 거리에서 떠올리는 파란 눈의 선교 사제

댓글 0 | 조회 2,482 | 추천 0
정웅모 신부의 아름다운 성화 아름다운 인생 (2) 아시시 거리에서 떠올리는 파란 눈의 선교 사제“오로지 하느님 뜻에 순명하겠습니다”성 프란치스코처럼 하느님 모습 보여주신 우리동네 …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46) 스카라무챠의 ‘1630년 페스트에 라자레토를 방문하는 페데리코 보로메오’

댓글 0 | 조회 1,489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46)스카라무챠의‘1630년페스트에라자레토를방문하는페데리코보로메오’기근과페스트에쓰러진이들을살펴보는목자의눈길-루이지스카라무챠,‘1630년페스트에라자레토를…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30) 바크라프 브로지이크의 ‘콘스탄츠 공의회의 얀 후스’

댓글 0 | 조회 1,954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 한 장면](30) 바크라프브로지이크의‘콘스탄츠공의회의얀후스’혼란과이단의그림자를걷어내는교회-바크라프브로지이크,‘콘스탄츠공의회의얀후스’(1883년),프라하구시가지시…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14) 장 빅토르 슈네츠의 ‘알쿠이노를 접견하는 샤를마뉴’

댓글 0 | 조회 1,571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장면](14) 장빅토르슈네츠의‘알쿠이노를접견하는샤를마뉴’샤를마뉴의‘카롤링거르네상스’,오늘의유럽을만들다-장빅토르슈네츠,‘알쿠이노를접견하는샤를마뉴’(1830년),파… 더보기
Category
글이 없습니다.
State
  • 현재 접속자 321 명
  • 오늘 방문자 1,473 명
  • 어제 방문자 2,204 명
  • 최대 방문자 5,379 명
  • 전체 방문자 1,784,394 명
  • 전체 게시물 1,336 개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