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자 윤지충 사발 지석 명문, 다산 정약용 필체”

Pilgrimage News 성지순례 뉴스
홈 > Knowledges > Pilgrimage News
Pilgrimage News

“복자 윤지충 사발 지석 명문, 다산 정약용 필체”

관리자 0 1830 0

[단독] “복자 윤지충 사발 지석 명문, 다산 정약용 필체”

다산 연구의 대가 정민 교수, 사발 지석 글씨체와 친필 44자 비교 결과 동일 필체 가능성 높아

2021.10.10발행 [1632호]

3232235521_gyjYBiOv_854361708d553eb157f558a3e39a9cbf31de8aff.jpg
▲ 사발 지석 글씨(위)와 다산 친필 필적(아래) 두 줄씩 대조표. 운필의 습관에서 다산의 필획과 일치하는 점이 대단히 많다.

3232235521_mF7C2zWD_25cb0e81cf51249d03634bae7bbb2e1788300b50.jpg
▲ 정민 교수가 다산 정약용의 「산재냉화」를 들고 다산의 필체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면례 무덤 조성 시기와 입교 권면·사촌간 등 관계 종합적 고려하면 다산이 썼을 개연성은 충분


한국 교회 최초의 순교자인 복자 윤지충과 권상연의 무덤에서 출토된 백자 사발 지석에 새겨진 명문은 다산 정약용의 필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글자의 구성이나 필체로 봤을 때 다산이 명문을 직접 썼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다산 연구의 대가인 한양대학교 정민(베르나르도,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사발 지석의 글씨를 본 순간 대단히 낯익은 느낌이 들었다”며 “다산 정약용의 글씨체와 비슷하다는 것이 글씨에 대한 첫인상이었다”고 설명했다. 정민 교수는 10여 년간 다산의 친필이 있다면 전국 어디든 찾아가 실물을 보고 사진을 촬영했다. 다산의 친필 글씨를 친숙하게 보아온 탓에 사발 지석에 적힌 글씨가 다산이 쓴 것일 수 있다고 판단했다.

사발 지석의 글씨는 해서(楷書, 글씨를 정자로 바르게 쓰는 한자 서체)다. 해서체로 된 다산의 친필 글씨는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소장된 「여유당시집」과 필사본 「산재냉화」, 「백운첩」 등에 풍부하게 남아있다. 정민 교수는 사발 지석에 적힌 글씨를 글자별로 잘라 내 표 속에 넣고, 해서로 적힌 다산의 친필 글씨 중 표 속에 글자와 같은 글자를 찾아 44자의 샘플을 만들었다.

사발의 글씨는 평평한 상태의 종이에 쓴 것이 아니다. 사발의 경우 굽이 있어 붓이 닿는 면과 붓을 잡는 공간이 종이에 쓸 때보다 훨씬 떨어져 있어 종이에 쓰는 것과는 느낌이 다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샘플을 채취해 대비한 결과 경우의 수가 많아질수록 글씨의 유사성도 높아지는 결과가 확인됐다. 두 번의 ‘본(本)’ 자는 자형이 다르고 느낌이 독특하다. 하지만 이 두 글자 모두 다산의 필첩 중 비슷한 용례가 확인됐다. 다산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보여줬다. 다른 글자들의 경우도 대부분 다산의 글씨체와 유사하다. 대조의 사례가 많아질수록 사발 지석의 글씨가 다산이 쓴 글씨일 수 있다는 개연성은 높아졌다.

사발 지석의 글씨를 다산이 썼을 것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할 또 다른 근거도 있다.

정 교수는 “윤지충과 권상연의 무덤이 조성된 때는 순교 후 약 1년이 지난 뒤다. 처음에는 가매장 상태로 모셨고, 약 1년 후 면례(緬禮, 무덤을 옮겨서 다시 장사를 지냄)했다. 사발 지석도 이때 함께 묻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윤지충과 권상연이 묻힌 장소는 유항검 집안 소유의 땅이었다”며 “당시 전주 교회의 지도자였던 유항검 형제가 이들의 시신을 수습해 묻었다. 이에 따라 면례는 교회 차원의 행사로 준비돼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시 면례가 교회 차원의 행사로 준비돼 진행됐다면 사발 지석의 글씨를 다산이 썼을 개연성은 충분하다"며 "다산은 윤지충과 사촌 간이었고, 천주교로 입교시킨 장본인이었으며, 윤지충의 죽음에 대한 부채감까지 고려하면 자신의 글씨를 담은 지석으로 그와 영결코자 한 뜻을 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 교수는 "고작 44자의 샘플 비교만으로 이 글씨를 다산이 썼다고 확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다른 사람의 샘플에서 뽑아서 비교했을 때 이 같은 유사도를 얻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사실을 분명히 해두고 싶다"고 말했다. 추사 김정희의 글씨와 비교했을 때 같은 '학(學)자'의 경우라도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온다는 설명이다.

그는 "글씨는 나이에 따라 조금씩 변하고 필기구가 붓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지만, 글자의 구성이나 필체는 쉽게 바뀌지 않는다"며 "이 글씨가 다산의 글씨일 경우 당시 윤지충, 권상연 묘소의 조성 과정과 의미에 대해 또 다른 의미와 의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도재진 기자 djj1213@cpbc.co.kr

0 Comments
Hot

인기 “정약용은 ‘사제’였다”… 정민의 다산독본 : 파란(波瀾), 인문학자가 추론한 청년 다산의 삶

댓글 0 | 조회 1,919 | 추천 0
“정약용은 ‘사제’였다”… 인문학자가 추론한 청년 다산의 삶정민의 다산독본 : 파란(波瀾) / 정민 지음 / 천년의 상상2019.09.29발행 [1532호]▲ 정민 교수가 다산 정… 더보기
Hot

인기 [교회사 숨은 이야기] (90) 폐궁의 여인들

댓글 0 | 조회 1,914 | 추천 0
[정민교수의한국교회사숨은이야기] (90) 폐궁의여인들신앙에목말랐던폐궁의여인들,주문모신부에게세례받아-사학징의중이조이의공초기록부분.고인물속에전해진복음신유박해순교자중정조의이복동생은언군(… 더보기
Hot

인기 [교회사 숨은 이야기] 77. 서양 배에 오른 현계흠 플로로

댓글 0 | 조회 1,908 | 추천 0
영국 해군 배에 오른 현계흠, ‘대박청래’ 근거를 제공하다[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77. 서양 배에 오른 현계흠 플로로2021.12.05발행 [1640호]▲ 현계흠… 더보기
Hot

인기 [교회사 숨은 이야기] 9. 광암 이벽, 광야에서 외치는 목소리

댓글 0 | 조회 1,903 | 추천 0
이벽 요한, 고결한 모습과 맑은 목소리로 세상을 울리다[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9. 광암 이벽, 광야에서 외치는 목소리2020.07.05발행 [1571호]▲ 이벽 … 더보기
Hot

인기 [교회사 숨은 이야기] 12. 그늘 속의 사람, 정약현

댓글 0 | 조회 1,896 | 추천 0
하나는 죽고 둘은 귀양… 가문 지키려 아우 시신마저 거부[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12. 그늘 속의 사람, 정약현2020.07.26발행 [1574호]▲ 정창섭 작 ‘… 더보기
Hot

인기 [교회사 숨은 이야기] 74. 윤지헌과 주문모 신부

댓글 0 | 조회 1,888 | 추천 0
윤지헌, 주문모 신부의 비선 책임자이자 저구리 교회 지도자[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74. 윤지헌과 주문모 신부2021.11.14발행 [1637호]▲ 윤지헌 프란치스… 더보기
Hot

인기 [교회사 숨은 이야기] 81. 보험 들기 - 갈라진 남인, 노론과 손잡은 공서파에 맞서 신서파는 채제공과 유착

댓글 0 | 조회 1,888 | 추천 0
갈라진 남인, 노론과 손잡은 공서파에 맞서 신서파는 채제공과 유착[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81. 보험 들기2022.01.01발행 [1644호]▲ 「벽위편」에 실린 …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32) 젠틸레 벨리니의 ‘그리스도의 성 십자가 유물함에 그려진 베사리온 추기경’

댓글 0 | 조회 1,886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32) 젠틸레벨리니의‘그리스도의성십자가유물함에그려진베사리온추기경’비잔틴을지키고싶은간절한눈빛-젠틸레벨리니,‘그리스도의성십자가유물함에그려진베사리온추기경’… 더보기
Hot

인기 [특별기고]「만천유고」·「이벽전」도 위작

댓글 0 | 조회 1,885 | 추천 0
개신교 선교사가 쓴 책 베껴… 「만천유고」·「이벽전」도 위작특별기고 / 소위 이벽의 ‘성교요지’는 사기다 - 윤민구 신부(수원교구)2019.07.28발행 [1525호]▲ 2014년… 더보기
Hot

인기 [교회사 숨은 이야기] 33. 예수상 전문 화가 이희영

댓글 0 | 조회 1,880 | 추천 0
성물 반입 어려워지자 기도문과 성화 책판에 찍어 보급하다[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33. 예수상 전문 화가 이희영2021.01.01발행 [1595호]▲ ‘선미도’. … 더보기
Hot

인기 [교회사 숨은 이야기] (84) 죽여서 입을 막다

댓글 0 | 조회 1,877 | 추천 0
[정민교수의한국교회사숨은이야기] (84) 죽여서입을막다주문모신부입국사실숨기려윤유일 · 최인길 · 지황비밀리에처형-(왼쪽부터)복자윤유일바오로·최인길마티아·지황사바.1795년5월11일… 더보기
Hot

인기 [교회사 숨은 이야기] 78. 이합규와 서소문 신앙공동체

댓글 0 | 조회 1,873 | 추천 0
교리 가르치고 세례 베푼 ‘교주’… 「사학징의」 전체에 49회 등장[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78. 이합규와 서소문 신앙공동체2021.12.12발행 [1641호]▲ … 더보기
Hot

인기 [교회사 숨은 이야기] (88) 강완숙의 충훈부 후동 집 구조와 구성원

댓글 0 | 조회 1,872 | 추천 0
[정민교수의한국교회사숨은이야기] (88) 강완숙의충훈부후동집구조와구성원제대꾸며진협방에주문모신부모시고여성20여명상주-18세기서울의모습을그린‘도성대지도’.종로구안국동인근충훈부후동에강완… 더보기
Hot

인기 [교회사 숨은 이야기] 13. 조선 천주교회 최초의 8일 피정

댓글 0 | 조회 1,870 | 추천 0
권일신, 기도와 묵상에만 전념하면서 절에서 8일을 지내다[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13. 조선 천주교회 최초의 8일 피정2020.08.09발행 [1575호]▲ 「성경…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52) 자크 루이 다비드의 ‘나폴레옹의 대관식’

댓글 0 | 조회 1,869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52) 자크루이다비드의‘나폴레옹의대관식’대관식에서직접왕관을쓰는나폴레옹,교황은허수아비일뿐-자크루이다비드,‘나폴레옹의대관식’(1805~1807년),프랑스루… 더보기
Category
글이 없습니다.
State
  • 현재 접속자 227 명
  • 오늘 방문자 1,850 명
  • 어제 방문자 2,283 명
  • 최대 방문자 5,379 명
  • 전체 방문자 1,782,567 명
  • 전체 게시물 1,336 개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