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60: 피에트로 카노니카의 베네딕토 15세 교종 기념비

Pilgrimage News 성지순례 뉴스
홈 > Knowledges > Pilgrimage News > 성화
Pilgrimage News

[세계]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60: 피에트로 카노니카의 베네딕토 15세 교종 기념비

관리자 0 1125 0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60) 피에트로 카노니카의 ‘베네딕토 15세 교종 기념비’


국경 · 민족 초월해 인류애 선물한 베네딕토 15세 교종

 

 

피에트로 카노니카, ‘베네딕토 15세 교종 기념비’(1928년), 성 베드로 대성전, 바티칸.

 

 

본당 사목 경험이 가장 많은 교종으로 알려진 비오 10세에 이어 반 가톨릭주의와 반 성직주의가 만연하던 통일 이탈리아 제노바 출신의 자코모 델라 키에사가 ‘베네딕토 15세’라는 이름으로 1914년 9월 3일 교종으로 선출됐다. 성직자가 되기 전에 제노바대학교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외교 경험이 있었다. 자코모 델라 키에사의 교회 내 가장 든든한 후견인이자 레오 13세 교종의 최측근이었던 마리아노 람폴라 추기경과 비오 10세 교종을 대립 관계에 놓았던 당시 언론의 행태를 비웃기라도 하듯, 비오 10세는 자코모 델라 키에사를 주교로 선임했고 서품식을 직접 집전했다. 비오 10세 교종은 자기가 쓰던 목장(牧杖)과 주교 반지를 그에게 선물로 주고 볼로냐대교구를 맡겼다. 델라 키에사 주교는 사목 방문과 강론에 공을 들였고, 기금을 마련해 가난하고 병든 사람을 돕는 데 앞장섰으며, 신학교 교육에 인문 과학과 고전을 추가해 교육 개혁을 주도했다.

 

 

베네딕토 15세 교황, 반전 메시지 선포

 

1914년 8월 20일 비오 10세가 선종하자 바로 콘클라베가 소집됐다. 제1차 세계대전(1914~1918) 중이어서 추기경단은 이런 위기에 세계를 짊어지고 갈 교종은 외교력이 뛰어난 사람이어야 한다고 판단했고, 레오 13세 시절부터 외교 경험이 많은 볼로냐대교구장 델라 키에사 추기경을 10여 차례의 투표 끝에 선출했다.

 

예상대로, 그는 전쟁을 ‘유럽의 자살 행위’로 단정, 단호하게 반대했다. 교종으로 선출되던 해 그는 교전국들에 성탄 메시지를 보내 종전을 촉구했다. 이탈리아, 프랑스, 벨기에는 전통적인 가톨릭 국가라 그런지 공감을 표했고, 영국도 그런대로 바티칸과 잘 지내고 있어 긍정적이었다. 하지만 독일은 프로테스탄트라는 종교적인 색채가 부각돼 평화를 중재하는 데 오히려 걸림돌이 됐다.

 

제1차 세계대전과 전후 처리도 큰 문제가 아닐 수 없었다. 독일 프로테스탄트들은 “교종에 의한 평화는 무조건 거부한다”며 무례한 발언을 서슴지 않았다. 이런 분위기를 의식한 듯 베네딕토 15세는 더욱 균형 있는 외교로 교전국 간에 평화를 중재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런데도 연합국과 동맹국 누구도 베네딕토 15세의 중재안을 수용하지 않았다.

 

1917년 8월 1일 베네딕토 15세는 다시 한 번 모든 교전국의 수장에게 다음과 같은 일곱 가지를 제안했다. △무력ㆍ폭력이 아닌 법적 권리에 의한 평화 수립 △교전국 동시 군비 축소 △국제 문제를 해결할 중재재판소 설치 △항해의 자유와 공공성 보장 △전쟁 배상금 제도 철폐 △점령 지역 반환 △영토권에 대한 우호적인 검토 등이었다.

 

이런 제안에 영국, 불가리아,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약간 호의적이었고, 미국의 윌슨 대통령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내용을 성의껏 작성해 보내왔다. 독일은 모호한 답변으로 얼버무렸다. 교종의 제안서는 모두 무시된 것으로 보이지만, 후에 전쟁 종결을 위한 윌슨 대통령의 14개 조항으로 된 평화 원칙의 토대가 됐다.

 

제1차 세계대전 시기 평화를 위한 교종의 외교 노력은 성공하지 못했지만, 인류의 영적 지도자로서 교종의 위상을 확고히 하는 계기가 됐다. 그의 활동은 후임 교종들의 모델이 되기도 했다. 제2차 세계대전 홀로코스트 시기, 물밑에서 조용히 외교를 펼친 비오 12세, 냉전 시대 미국과 소련 사이에서 핵전쟁의 긴장이 고조되던 때에 회칙 「지상의 평화(Pacem in Terris)」를 반포하며 세계 평화에 큰 힘을 쏟았던 요한 23세, 학생 운동과 베트남 전쟁으로 세계 대변혁 시기 바오로 6세, 이라크 전쟁 시기 요한 바오로 2세 등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전쟁 후유증 치유에 앞장

 

전쟁은 종식되고 나서도 큰 상처를 남기는 법이다. 교종은 이후 당사국 정부들과 협상을 벌여 포로 교환 및 부상병과 포로들의 귀환을 주도했고, 점령지에 거주하는 민간인들의 교환, 전사자들의 시신 송환, 전쟁 포로와 가족 간의 상봉, 희생자들의 유해 발굴과 행불자 수색, 망명자와 전쟁고아들을 돌보는 등 전쟁이 남긴 깊은 상처와 후유증을 완화하고자 노력했다. 무엇보다도 유럽이 승자와 패자로 갈려 전쟁의 비극이 계속되는 일이 없도록 염려하고 경고했다.

 

그는 전쟁을 ‘무익한 대학살’로 규정하고, 세계 각국의 화해를 호소하는 회칙 「평화, 하느님의 가장 아름다운 선물(Pacem, Dei Munus Pulcherrimum, 1920)」를 발표했다. 그리고 얼마 후 성 베드로 대성전에는 제1차 세계대전 시에 전사한 군인을 기리기 위해 마련한 무덤 앞에서 베네딕토 15세가 무릎을 꿇고 기도하는 모습의 조각상이 전시됐다. 오늘 소개하는 바로 이 작품이다.

 

이 기념비는 피에트로 카노니카(Pietro Canonica, 1869~1959)의 1928년도 작품이다. 성 베드로 대성전 내, 미켈란젤로의 ‘피에타’와 마주 보고 있는 ‘세례 경당’을 거쳐 ‘스튜어트 기념비’를 지나면 성 비오 10세 제단이 있는 경당이 있다. 이 경당을 바라보고 왼쪽에 제1차 세계대전이라는 어려운 시기에 교회를 이끌었던 베네딕토 15세 교종의 이 기념비가 있다. 지금은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종 무덤 경당(옛 성 세바스티아누스 경당)과 마주 보고 있는 곳이다.

 

 

사실주의 조각가

 

카노니카는 피에몬테주 토리노 근처 몬칼리에리에서 태어나 당시 이름난 조각가 오도아르도 타바키의 조수로 미술 공부를 시작했다. 후에 조각가며 작곡가로 20세기 전반기 이탈리아에 많은 역사적인 작품을 남겼다. 17살에 ‘수련 수녀’라는 작품으로 상을 받으면서 사실주의 조각가로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땅 파는 사람’, ‘기도하는 사람’ 등은 사실주의 맥락에서 칭송을 받았고, 도나텔로 조각에 영감을 입어 그리스도 연작, 곧 ‘채찍질로 피투성이가 된 그리스도’,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 ‘무덤에 묻히신 그리스도’는 회화적 작품으로 큰 반향을 불러왔다. 작곡가로서 그는 피아노 연주를 즐겼고, 몇몇 오페라 작품도 남겼는데 ‘코린토의 신부’, ‘메네아’, ‘거룩한 땅’, ‘미란다’ 등을 꼽을 수 있다.

 

그는 20세기의 전위 예술에 편승하지 않고, 낭만주의와 르네상스 미술을 고수하다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종교 미술에 헌신했다. 잠시 아카데미아 교수를 지냈고, 이탈리아 왕립 아카데미아 회원이 된 첫 번째 회원 중 한 사람으로 무솔리니에 의해 직접 임명됐지만, 파시즘에 대한 유착 관계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는 로마의 보르게제 공원 내에 있는 작은 빌라를 자비로 수리해 사용 허락을 받아서 살다가 사후 그곳을 그의 이름으로 된 미술관으로 로마시에 기증하겠다고 했고 그렇게 되었다.

 

 

인도주의 정신 실천

 

베네딕토 15세 교종은 계몽주의 시대부터 일어난 ‘신의 외면’과 이성에 대한 맹신을 우려해 왔다. 그리고 그 이성이 결국 자행한 건 유럽을 아수라장으로 만들고, 형제들에게 칼을 겨누는 것이었다. ‘무익한 대학살’인 전쟁은 그것을 결정한 국가와 정부의 수반들이 직접, 물리적으로 고통을 겪는 게 아니다. 그것은 오로지 무고한 백성들의 몫이다. 힘없는 약자들이 감당해야 하는 고통이 너무도 큰 데 반해, 수반들은 무장 해제와 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 테이블에 냉소적이었다.

 

교종은 그런 백성을 돕기 위해 국경, 민족, 종교를 초월해서 기구를 만들고 전문인력을 파견했다. 그의 손길이 닿은 곳에는 고통이 경감됐다. 제1차 세계대전 기간 세속의 군주들과는 달리, 2000년 교회사에서 체득한 것이 무엇이었는지,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보여주려는 듯, 감동적인 인도주의 정신을 실천했다.

 

2005년 라칭거 추기경이 성 요한 바오로 2세의 뒤를 이어 교종으로 선출됐을 때, 그는 베네딕토 15세의 평화 활동을 떠올렸다. 9ㆍ11 사태 이후 세계는 여전히 긴장 국면에 있었고, 여전히 많은 적을 만들어 싸우고 있었다. 그가 ‘베네딕토 16세’로 이름을 선택한 이유였다.

 

베네딕토 15세의 이런 업적은 그가 선종했을 때 터키의 이슬람교도가 앞장서 기렸다. 이스탄불 시내에 그의 동상을 세운 것이다. 교종의 박애 정신을 기리며 “비극적인 세계에서 국가와 종교를 초월해 모든 사람에게 은혜를 베푼 위대한 교종”이라는 헌시를 새겼다.

 

 

작품 속으로

 

오늘 소개하는 이 작품도 교종의 이런 정신을 잘 담았다. 무고한 희생자와 전사한 어린 군인들을 위해 전 유럽에는 엄청난 공동묘지가 세워졌다. 전쟁이 지나간 자리에는 죽음밖에 없다. 교종은 선두에 있는 무덤 앞에서 기도하고 있다. 공동묘지로 바뀐 유럽을 상징하는 올리브 나뭇가지로 양쪽을 장식했다. 동상 위에는 화염에 휩싸인 세상을 아기 예수에게 보여주는 마리아가 있다. 교종은 마리아를 처음으로 ‘평화의 모후’라고 부르며, 인류를 의탁했다.

 

[가톨릭평화신문, 2021년 11월 14일, 김혜경(세레나, 부산 가톨릭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동아시아복음화 연구원 상임연구원)]

0 Comments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12) 지롤라모 시촐란테 다 세르모네타의 ‘피핀 3세가 스테파노 2세 교황에게 한 기증’

댓글 0 | 조회 1,333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장면](12) 지롤라모시촐란테다세르모네타의‘피핀3세가스테파노2세교황에게한기증’프랑스군주,군사력과새영토를교황에게바치다-지롤라모시촐란테다세르모네타,롬바르드족의아스톨… 더보기
Hot

인기 정웅모 신부의 아름다운 성화 아름다운 인생 (31) 내 곁에 머물렀던 성자 같은 한 사제를 그리워하며

댓글 0 | 조회 2,673 | 추천 0
정웅모 신부의 아름다운 성화 아름다운 인생 (31) 내 곁에 머물렀던 성자 같은 한 사제를 그리워하며밀알 하나가 땅에 떨어져 죽지 않으면…밀알 하나에서 많은 밀 맺게 된 것 표현이… 더보기
Hot

인기 정웅모 신부의 아름다운 성화 아름다운 인생 (15) 어머니를 다시 만나게 해주는 성사 같은 항아리

댓글 0 | 조회 2,273 | 추천 0
정웅모 신부의 아름다운 성화 아름다운 인생 (15) 어머니를 다시 만나게 해주는 성사 같은 항아리나자렛 성가정의 조촐한 저녁 식사‘성가정’에 등장하는 모든 소품은예수님 구원과 관련…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59) 프리드리히 스팀멜의 ‘하느님의 교회를 인도하는 레오 13세’

댓글 0 | 조회 1,313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59)프리드리히스팀멜의‘하느님의교회를인도하는레오13세’‘보편적인권’이라는새로운길로교회를이끌다-프리드리히스팀멜,‘하느님의교회를인도하는레오13세’(1903…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43) 피터르 브뤼헬의 ‘일곱 가지 자비의 행위’

댓글 0 | 조회 1,371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43)피터르브뤼헬의‘일곱가지자비의행위’목마른이에게마실것을,헐벗은이에게입을것을…사랑을행하여라-피터르브뤼헬,‘일곱가지자비의행위’(1616),개인소장,벨기에…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27) 조르조 바사리의 ‘그레고리오 11세 교황의 로마 귀환’

댓글 0 | 조회 1,301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장면](27)조르조바사리의‘그레고리오11세교황의로마귀환’70년만에본향로마로돌아온교황,환영하는양떼들-조르조바사리,‘그레고리오11세교황의로마귀환’,1572/73,교…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장면] (11) 생 질의 마이스터 ‘클로비스 왕에게 세례를 주는 생 레미’

댓글 0 | 조회 1,203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장면](11) 생질의마이스터‘클로비스왕에게세례를주는생레미’유럽의권력자클로비스왕,그리스도교수호자로나서다-생질의마이스터,‘클로비스왕에게세례를주는생레미’,61.5×4… 더보기
Hot

인기 정웅모 신부의 아름다운 성화 아름다운 인생 (30) 마음속에는 어느새 신비로운 물결이 출렁거리고

댓글 0 | 조회 2,646 | 추천 0
정웅모 신부의 아름다운 성화 아름다운 인생 (30) 마음속에는 어느새 신비로운 물결이 출렁거리고예수님의 부활 나비 형상으로 표현나비의 일생 예수님 삶·죽음·부활 상징27마리 노랑·… 더보기
Hot

인기 정웅모 신부의 아름다운 성화 아름다운 인생 (14) 찬란한 햇살이 내 온몸을 포근하게 감싸주고

댓글 0 | 조회 2,221 | 추천 0
정웅모 신부의 아름다운 성화 아름다운 인생 (14) 찬란한 햇살이 내 온몸을 포근하게 감싸주고예수님께서 외치셨다 “라자로야, 이리 나와라”권능에 찬 이 한마디에 죽었던 라자로 일어…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58) 루크 필즈의 ‘노숙자 임시 수용소 입소 허가를 기다리는 지원자들’

댓글 0 | 조회 1,091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 (58)루크필즈의‘노숙자임시수용소입소허가를기다리는지원자들’‘새로운사태’산업화의그늘,추위와굶주림에시달리는빈민들-루크필즈,‘노숙자임시수용소입소허가를기다리는…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42) 파스콸레 카티의 ‘트렌토 공의회’

댓글 0 | 조회 1,479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42)파스콸레카티의‘트렌토공의회’영혼을돌보는‘어머니교회’의근본으로돌아가다-파스콸레카티,‘트렌토공의회’(1588/1589),트라스테베레의성모마리아대성당,…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26) 드 뇌빌의 ‘보니파시오 8세 교황의 뺨을 때리는 샤라 콜론나’

댓글 0 | 조회 1,299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장면](26)드뇌빌의‘보니파시오8세교황의뺨을때리는샤라콜론나’뺨맞은교황,무너진권위-드뇌빌,‘보니파시오8세교황의뺨을때리는샤라콜론나’,프랑수아기조의저서「초기부터178…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장면] (10) 세바스티아노 리치의 ‘성모 성화 앞에서 기도하는 그레고리오 교황’

댓글 0 | 조회 1,270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장면](10) 세바스티아노리치의‘성모성화앞에서기도하는그레고리오교황’전염병의창궐…“주님,저희를돌보소서”-세바스티아노리치,‘로마에서페스트의소멸을위해성모께비는그레고리… 더보기
Hot

인기 정웅모 신부의 아름다운 성화 아름다운 인생 (29) 주님의 사랑은 우리를 당혹하게 만든다

댓글 0 | 조회 2,426 | 추천 0
정웅모 신부의 아름다운 성화 아름다운 인생 (29) 주님의 사랑은 우리를 당혹하게 만든다“너희도 서로 발을 씻어 주어야 한다”허리에 수건을 두른 예수님께서베드로 발 정성껏 씻는 장… 더보기
Hot

인기 정웅모 신부의 아름다운 성화 아름다운 인생 (13) 매미 한 마리를 잡아 성모상 앞의 작은 나뭇가지에 붙여 놓고

댓글 0 | 조회 2,487 | 추천 0
정웅모 신부의 아름다운 성화 아름다운 인생 (13) 매미 한 마리를 잡아 성모상 앞의 작은 나뭇가지에 붙여 놓고메시아 탄생 알리는 황금색 별 빛나하나의 작품 세 부분으로 제작삼위일… 더보기
Category
글이 없습니다.
State
  • 현재 접속자 185 명
  • 오늘 방문자 1,150 명
  • 어제 방문자 2,583 명
  • 최대 방문자 5,379 명
  • 전체 방문자 1,749,591 명
  • 전체 게시물 1,336 개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