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 숨은 이야기] 42. 집 나가는 아우들

Pilgrimage News 성지순례 뉴스
홈 > Knowledges > Pilgrimage News
Pilgrimage News

[교회사 숨은 이야기] 42. 집 나가는 아우들

관리자 0 932 0

홍교만과 이기연, 제사 지내지 않으려고 형이 통곡해도 가출

[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42. 집 나가는 아우들

2021.03.14발행 [1604호]

3232235521_nYbqMAj1_7f2da9426054b40c934a89c06647340d441462f4.jpg
▲ 복자 홍교만 프란치스코 하비에르는 신유박해가 일어나자 사돈인 정약종 아우구스티노의 책 상자를 받아 자신의 집에 숨겨 두었다.(탁희성 화백 그림) 홍교만은 서울에서 지내다가도 부친의 기일이 되면 제사를 피해 포천 자기 집으로 슬며시 돌아가 자리를 피하곤 했다.



제사를 지내느니 혈연을 끊겠다

초기 천주교 신자들을 가장 괴롭힌 것은 제사 문제였다. 특별히 1790년 구베아 주교의 사목교서가 조선 교회로 전해진 뒤로 더 했다. 윤지충의 막내아우 윤지헌(尹持憲)은 1795년 주문모 신부가 전라도 고산(高山)의 이존창의 집에 여러 날 머물 당시, 신부를 만나기 위해 고산으로 찾아갔다. 이후 전주 유관검의 집으로 내려와 머물자, 다시 신부를 찾아가서 만났다. 1800년 11월에는 내종 간인 정약종의 서울집에서 한 번 더 신부와 만났다. 그는 드물게 다른 세 장소에서 신부를 만날 수 있었던 특별한 위치에 있던 신자였다.

그를 세 번째 만났을 때 주문모 신부가 윤지헌에게 물었다. “제사를 지내고 있는가?” 윤지헌이 “죽은 이를 산 사람처럼 섬기는 것이 우리나라의 예절입니다”라고 대답하며 말꼬리를 흐렸다. 신부는 바로, “제사는 지극히 허황하고, 또 우리 도에서 꺼리는 바이다”라고 하며 나무람을 이어갔다. 「사학징의」에 나온다. 구베아 주교의 사목교서 이후 주문모 신부까지 제사 금지의 원칙을 강력하게 요구하면서, 조선에서 제사의 여부는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이느냐 마느냐의 징표로 굳어졌다.

집안 전체가 신앙생활을 할 경우는 문제 될 것이 없었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제사 문제는 신앙생활에 심각한 장애요 걸림돌이었다. 정광수 윤운혜 부부가 여주 부곡면(浮谷面)의 터전을 버리고 서울로 상경한 것은 제사 문제로 인한 집안 갈등이 폭발 직전까지 갔기 때문이었다. 「사학징의」의 공초에서 윤운혜는, 조상 제사에 계속해서 참석을 거부하자 시어머니가 나무라며 꾸짖음이 너무 심해서 상경을 결심했다고 했다. 신앙을 지켜낼 수 없다면 혈연을 끊는 것이 맞다고 그들은 생각했다.

정약종 일가가 마재를 떠나 분원(分院) 쪽으로 세간을 난 것도 발단은 제사 때문이었다. 정약종이 제사 참석을 거부하자, 부친 정재원의 노여움은 극도에 달했다. 뜻을 꺾고 순종한 정약전, 정약용과 달리, 정약종은 꿈쩍도 하지 않고 차라리 부자의 연을 끊겠다며 자진해서 솔가하여 집을 나갔다.

「사학징의」에 실린 신유년(1801) 2월 12일 의금부의 공초에 당시 정약종이 작성했다가 압수된 일기장 이야기가 나온다. 심문관이 말했다. “네 일기 속에 또한 조상에게 제사 지내거나 묘소에 참배하거나, 부모의 상을 치를 때 비단으로 신주를 만들고 제사상을 차리는 것 등의 일들은 모두 죄짓는 것이라고 했다. 또한 네 부모에 대해 차마 할 수 없는 망측한 말을 했고, 나라에 대해서도 뻔뻔스럽게 도리에 어긋난 말을 했으니 매우 흉악하다.”

차마 망측한 말이란 일기 속에 적힌 “나라에 큰 원수가 있으니 임금이요, 집에 큰 원수가 있으니 아비이다(國有大仇, 君也. 家有大仇, 父也)”란 문장을 두고 한 말이었다. 사학죄인을 다스릴 때 입만 열면 나오는 말이 무부무군(無父無君)의 무리란 소리였다. 하지만 천주를 믿는데 장애가 된다면, 임금도 아버지도 그에게는 원수요 마귀였다.

그의 아들 정철상(丁哲祥)은 「사학징의」 공초 중 형추문목(刑推問目)에서 심문관이 “어려서부터 사학에 물들어서 네 아비 정약종의 악행을 도왔고, 심지어 집에 있을 때는 네 조상의 제사에 참배하지 않았다”고 추궁하자, 정철상은 “저는 사학에 깊이 미혹되어 제사에 참석하지 않았습니다. 저의 종대부(從大夫)께서 사학을 금지하며 신부에 대해 바른대로 고하라는 뜻으로 송곳으로 찔렀지만 고하지 않았습니다”라고 대답했다.

글 속의 종대부는 정약종의 숙부 정재운(丁載運)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정재운은 정철상의 조부 정재원의 친동생이지만 정지열(丁志說)에게 출계(出系) 되었다. 종손(從孫)을 송곳으로 찔러가며 주문모 신부의 행방을 대라고 추궁하는 모습에서, 정약종이 목이 잘려 죽은 뒤 갈 곳이 없어 마재로 돌아온 정약종의 가족들에게 집안의 무지막지한 폭력이 행사되었음을 보여준다.



개가 웃을 말

정인혁(鄭仁赫)의 공초에도 신주를 불태우고 제사를 거부하는 행동으로 집안과 지속적인 갈등을 빚는 모습이 보인다. 정인혁은 1791년 형조에 붙들려 갔을 때, 부친과 형이 같이 끌려갔다. 아버지와 형은 형조에서, 죽음을 각오하고 금지하여 끊게 하고, 친척들이 온갖 방법으로 타일렀어도 오히려 더 깊이 믿어 어찌할 수 없었다고 진술하였다. 정작 정인혁 본인은 천주교에서 제사를 크게 그르다고 가르치므로 영원히 폐기했다고 담담하게 말했다.

한정흠(韓正欽)은 최후진술에서 “사당을 헐고 제사를 폐하고도 오히려 천당과 지옥에 일찍 가지 못함을 안타까워하였습니다. 죽는 것을 사는 것과 같게 보았고, 그릇된 도리로 대중을 미혹시켰습니다”라고 대답했다.

이재신(李在新)의 형추문목에는, 그가 주변 사람에게 사학을 권유할 때 제사 문제가 걸림돌이 되자, “사학하는 사람은 제사를 드리지 않지만, 만약 제사를 안 드리면 남이 지목하는 바가 되므로 어쩔 수 없이 사당에 절은 하는데, 이른바 허배(虛拜), 즉 헛절이라는 것이 이것이다”라고 훈수하는 얘기가 나온다. 일부 눈가림용의 위장술을 슬쩍 권하기도 한 셈이다.

반면 남필용(南必容)은 형조에 올린 초사에서 “산 사람은 음식을 몹시 즐겨도 영혼은 음식을 먹지 못합니다. 뿐만 아니라 만약 부모의 영혼이 분명히 흠향하실 것을 안다면, 비록 집을 팔고 몸을 팔아서라도 반드시 또한 풍성하게 차리고 넘치도록 행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허사인 줄을 알기에 과연 정성된 마음으로 제사를 지내지 않았습니다. 사학을 하지 않는 자가 제사를 지내지 않는 것은 진실로 죄일 것입니다. 하지만 사학을 하는 자가 제사를 드리지 않는 것 또한 도리입니다”라고 하며 정면 돌파했다.

형조와 좌우포청에서 천주교인들을 잡아다가 문초할 때 첫마디는 늘 패륜멸상(悖倫蔑常)과 이적금수(夷狄禽獸)의 도리를 꼽았다. 그 주된 근거 또한 언제나 제사 거부였다. 앞서 소개한 바 있는 나열(羅烈, 1731~1803)이 1790년에 지은 「서학(西學)」 시에서 “서학은 천주를 위주로 하여, 부모를 빈 병처럼 여기는구나. 자신을 병 속 물건처럼 보거니, 따른 뒤엔 병에 무슨 정이 있겠나(西學主天帝, 父母視空甁. 自同甁中物, 脫來甁何情)”라고 지적한 데서 보듯, 그들에게 육신을 준 아버지는 잠시 몸을 담고 있던 빈 병에 지나지 않았다. 인간의 가짜 아버지는 잠시 몸을 빌어 태어난 것일 뿐이고, 진짜 아버지는 하늘에 계신 천주여야만 했다. 조상 제사를 거부하고, 부모에게 이런 모진 말과 행동을 하면서 이웃을 내 몸같이 사랑하겠다니, 유학자들의 입장에서는 패륜도 이런 패륜이 없었다. 개가 웃을 말이었다.

바깥 사람들은 점차 제사 여부를 그가 천주교 신자인지 아닌지를 가늠하는 시금석으로 여기게 되었다. 한번은 궐내에 숙직 중이던 이가환에게 집에서 제삿밥을 보내왔다. 함께 숙직하던 승선(承宣) 임제원(林濟遠)이 불쑥 이렇게 말했다. “그대 집에서도 조상에게 제사를 지낼 수 있는가?” 천주학을 한다는 사람이 어떻게 제사를 지내느냐고 비아냥거린 내용이다. 「눌암기략」에 나온다. 그전 이승훈과 권철신의 예에서도 보듯 진산 사건 이전에도 제사에 대한 거부감은 있었지만, 진산 사건 이후로 이 문제는 더 이상 대충 뭉개고 넘어갈 수 없는 문제가 되었다.

3232235521_iazB1YvT_dcc8aad131552d92dba7a99ce25f3bb44474e717.jpg
▲ 복자 홍교만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가출하는 동생과 통곡하는 형

강세정의 「송담유록」에는 제사 때만 되면 가출하는 아우들의 이야기가 두 차례 나온다. 먼저 홍교만(洪敎萬, 1737~1801)의 이야기를 보자. 그는 정약종의 집안과 혼인을 맺었고, 권철신과는 내외종간이었다. 서종제(庶從弟) 홍익만(洪翼萬, ?~1801)도 독실한 천주교 신자였다. 온 집안이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모두 천주교를 믿었다.

“성품이 몹시 편협한지라 미혹됨이 더욱 심하였다. 서울에 들어오면 그의 큰 형님 집에 여러 날씩 머물렀는데, 부친의 기일을 만나면 그때 임시해서 포천의 자기 집으로 돌아가곤 했다. 서학에서는 제사를 지내면 마귀가 와서 먹는다고 해서 제사의 예를 폐한다. 그 백씨가 힘껏 붙들어도 듣지 않았으므로 마침내 통곡하기에 이르렀다. 사학이 사람의 심술을 빠뜨림이 이와 같았다.”

그의 큰 형은 한성판윤을 지낸 홍주만(洪周萬)이었다. 내둥 서울서 지내다가, 아버지의 기일만 되면 제사를 피해 포천 청량면(淸凉面)에 있던 제 집으로 슬며시 돌아가 자리를 피하곤 했다. 홍주만이 통곡을 하며 붙잡아도 들은 체도 하지 않았다.

「송담유록」에 거의 똑같은 기록이 하나 더 있다. “충주의 사족인 이최연(李最延)과 이기연(李箕延, 1737~1801) 형제가 권일신에게서 배워 오로지 사학(邪學)에 마음을 쏟았다. 그의 큰 형인 이세연(李世延, 1721~1797)은 근후하고 이름이 알려진 선비였다. 한번은 부친의 기일이 되었는데, 두 아우가 참석하지 않자 이세연이 통곡하였지만, 끝내 마음을 돌리지 않았다.”

앞서 홍교만의 기록과 짜 맞춘 듯 똑같다. 큰집 제사에 천주학을 믿는 동생들은 핑계를 대고 참석하지 않았다. 큰형이 통곡으로 만류해도 들은 체도 하지 않은 것까지 판박이다.

3232235521_lVE96YHn_868c55293942e337af322c93170a4eec28b7b5d3.jpg
                                                       정민 베르나르도(한양대 국문학 교수)

0 Comments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31) 베노초 고촐리의 ‘동방 박사들의 행렬’

댓글 0 | 조회 1,036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31)베노초고촐리의‘동방박사들의행렬’비잔틴학자와저명인사들의화려한방문,르네상스를견인하다-베노초고촐리,‘동방박사들의행렬’(1459~1460),메디치리카르디…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30) 바크라프 브로지이크의 ‘콘스탄츠 공의회의 얀 후스’

댓글 0 | 조회 1,138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 한 장면](30) 바크라프브로지이크의‘콘스탄츠공의회의얀후스’혼란과이단의그림자를걷어내는교회-바크라프브로지이크,‘콘스탄츠공의회의얀후스’(1883년),프라하구시가지시…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29) 앙게랑 콰르통의 ‘자비의 성모’

댓글 0 | 조회 1,025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29)앙게랑콰르통의‘자비의성모’하늘아래교황이둘…분열된교회를감싸는성모님의망토-앙게랑콰르통,‘자비의성모’,캐다드제단화,1452년경,콩데미술관,프랑스샹티이.…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28) 베른트 노트케의 ‘죽음의 무도회’

댓글 0 | 조회 1,001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장면](28)베른트노트케의‘죽음의무도회’페스트광풍이몰아치다…해골과춤추는사람들-베른트노트케,‘죽음의무도회’(일부)(1475/1499년),(에스토니아)탈린의성니콜라…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27) 조르조 바사리의 ‘그레고리오 11세 교황의 로마 귀환’

댓글 0 | 조회 947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장면](27)조르조바사리의‘그레고리오11세교황의로마귀환’70년만에본향로마로돌아온교황,환영하는양떼들-조르조바사리,‘그레고리오11세교황의로마귀환’,1572/73,교…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26) 드 뇌빌의 ‘보니파시오 8세 교황의 뺨을 때리는 샤라 콜론나’

댓글 0 | 조회 943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장면](26)드뇌빌의‘보니파시오8세교황의뺨을때리는샤라콜론나’뺨맞은교황,무너진권위-드뇌빌,‘보니파시오8세교황의뺨을때리는샤라콜론나’,프랑수아기조의저서「초기부터178…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장면] (25) 조토의 ‘희년을 선포하는 보니파시오 8세 교황’

댓글 0 | 조회 1,033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장면](25)조토의‘희년을선포하는보니파시오8세교황’새로운시대‘100년전대사’은총을주는희년을선포하다-조토,‘희년을선포하는보니파시오8세교황’,라테란의요한대성전,이탈…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24) 라파엘로의 ‘볼세나의 기적’

댓글 0 | 조회 916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장면](24)라파엘로의‘볼세나의기적’빵과포도주가그리스도의몸과피로변하는기적의순간을담다-라파엘로,‘볼세나의기적’,1512?,엘리오도로의방,바티칸박물관,로마.유럽밖에…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23) ‘교단에서 가르치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

댓글 0 | 조회 979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23)‘교단에서가르치는성토마스아퀴나스’스콜라철학신학자의토론식수업,인문주의를키운토양이되다-작가미상,‘교단에서가르치는성토마스아퀴나스’,프레스코화,산타마리아…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22) 주세페 사르디의 ‘1122년 보름스 협약과 서임권 투쟁의 종식’

댓글 0 | 조회 917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22) 주세페사르디의‘1122년보름스협약과서임권투쟁의종식’성직자임명권갈등의극적인타협,교회우위를재천명하다-주세페사르디,‘1122년보름스협약과서임권투쟁의종…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21) 도미니크 파페티의 ‘1291년, 아크레를 방어하는 기욤 드 클레르몽’

댓글 0 | 조회 836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21) 도미니크파페티의‘1291년,아크레를방어하는기욤드클레르몽’최후의전투,성벽과함께완전히무너져내린십자군-도미니크파페티,‘1291년아크레를방어하는기욤드클…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20) 야코포 팔마 일 조바네의 ‘콘스탄티노플 점령’

댓글 0 | 조회 883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장면](20) 야코포팔마일조바네의‘콘스탄티노플점령’탐욕에눈이멀어형제도시를짓밟은비극의역사-야코포팔마일조바네,‘1204년4월13일,십자군에의한콘스탄티노플점령’,15…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19) 구스타브 도레의 ‘안티오키아 학살’

댓글 0 | 조회 892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장면](19)구스타브도레의‘안티오키아학살’십자군의칼은절규하는무슬림과그리스도인마저처참히살육-구스타브도레,‘안티오키아학살’,삽화,1877년,파리.무슬림세력에대항한십…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18) 프란체스코 하예츠의 ‘클레르몽의 광장에서 제1차 십자군 전쟁을 설교하는 우르바노 2세 교황’

댓글 0 | 조회 885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장면](18) 프란체스코하예츠의‘클레르몽의광장에서제1차십자군전쟁을설교하는우르바노2세교황’성지되찾고형제도우러“십자군원정에나서야합니다”-프란체스코하예츠,‘클레르몽의…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17) 디오라마의 ‘1071년 만지케르트 전투’ 셀주크의 승리와 장악, 십자군 전쟁의 불씨가 될 줄이야

댓글 0 | 조회 971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장면](17)디오라마의‘1071년만지케르트전투’셀주크의승리와장악,십자군전쟁의불씨가될줄이야-‘1071년만지케르트전투’(1071, BatailledeManziker… 더보기
Category
글이 없습니다.
State
  • 현재 접속자 66 명
  • 오늘 방문자 1,202 명
  • 어제 방문자 1,957 명
  • 최대 방문자 5,379 명
  • 전체 방문자 1,657,783 명
  • 전체 게시물 1,336 개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