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 숨은 이야기] 48. 세례명 퍼즐 풀기

Pilgrimage News 성지순례 뉴스
홈 > Knowledges > Pilgrimage News
Pilgrimage News

[교회사 숨은 이야기] 48. 세례명 퍼즐 풀기

관리자 0 1130 0

중국음으로 읽어야 원음과 비슷… 어감 좋고 예쁜 글자로 대체

[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48. 세례명 퍼즐 풀기

2021.04.25발행 [1610호]

3232235521_K9FmAPDl_f4ea3538c951224a440827e1b6f95cbc10502c41.jpg
▲ 「성년광익」 마이야본 1월 목차.

3232235521_AwcsWvX3_49953ffab26c10da165fa9d6bc364128e9d257a5.jpg
▲ 「성년광익」 한글본 목차.



중국음으로 읽어야 풀리는 퍼즐

중국에서 쓰는 한자 이름은 중국 발음으로 읽어야 원어와 비슷해진다. 중국의 한자 이름이 조선으로 건너와 현지화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앞글에 이어 세례명을 특정하지 못한 몇 가지 예들을 마저 살펴보겠다.

먼저 최조이(崔召史)의 세례명 이사발(二四發)은 엘리사벳(Elisabeth)을 가리킨다. 중국어 표기 의살백이(依撒伯爾)를 ‘이사보얼’로 읽는데, 줄여 읽으면 이사발로 들린다. 이사발을 중국음으로 읽을 경우 ‘얼쓰파’가 되어 영 딴말이 되고 만다. 흔히 이사벨에 해당하는 이름이다.

남판서 댁 여종 구월(九月)은 「추안급국안」에 박파투다(朴婆投多)로 나온다. 하지만 파투다가 세례명은 아니다. 성씨 박(朴)에다 파(婆)는 노파의 뜻이니, 세례명은 투다(投多)이다. 투다는 성녀 테오도라(Theodora)로 중국에서는 투다랄(投多辣) 또는 투다납(投多納)으로 쓰고, ‘토우도라’로 읽는다. 역시 앞쪽 두 글자만 따서 축약한 형태다.

성조이(成召史)의 세례명은 마달(馬達)이다. 중국음으로 읽어 ‘마아따’이다. 중국 표기는 마이대(瑪爾大)로 쓰고 ‘마얼따’로 읽는다. 동정 성녀 마르타(Martha)를 가리킨다.

유덕이의 세례명 갈오사(乫於沙)는 알기가 어렵다. 그나마 유사하기로는, 중국어로 기리사제납(基利斯弟納)이라 쓰는 성녀 크리스티나(Christina)의 첫 세 글자 ‘기리사’에서 유사한 음을 취한 것이 아닐까 추정해 본다.

「추안급국안」 1801년 3월 15일 주문모 공초 중에, 창동 사는 노파로 김오소랄(金吳蘇辣)이란 이름이 나온다. 오소랄은 ‘우스라’로 읽는데, 세례명 우르슬라(Ursula)에 가깝다. 다만 우르슬라 성녀는 「성년광익」에 나오지 않는 이름이다. 「성년광익」에 나오는 세례명으로 가장 근접한 것은 성녀 아셀라(Asella), 중국어 표기는 아슬랄(亞瑟辣), 즉 ‘아스라’이다. 우르슬라가 더 가깝다고 생각되지만 판단을 기다린다.



우아하게 바뀐 성녀들의 이름과 성녀 전기


같은 음의 한자를 쓰더라도 한국인의 정서에 맞게 우아한 뜻을 지닌 글자를 끌어다 쓰는, 이른바 아화(雅化) 현상이 특히 여성의 세례명에서 자주 발견되는 것은 흥미롭다. 서양 여성의 이름 끝에 자주 나오는 ‘나(na)’와 ‘아’가 중국어에서는 거의 ‘납(納)’과 ‘랄(辣)’ 또는 ‘아(亞)’로 쓰는데, 조선에서는 대부분 ‘라(羅)’나 ‘아(阿)’로 교체되는 특징이 있다.

김순이의 세례명 다슬라(多瑟羅) 또는 다슬아(多瑟阿)는 성녀 타르실라(Tharsilla)에 해당한다. 한자명은 대서랄(大西辣)이니, ‘다시라’로 읽는다. 대서랄을 버리고 같은 발음으로 된 다슬라라는 어감 좋고 예쁜 글자로 대체했다.

여종 윤복점(尹福占)의 세례명 윤아(閏阿)는 성녀 레지나(Regina)를 가리킨다. 중국에서는 유납(類納)이고 음으로는 ‘레이나’이다. 유납을 ‘유나’로 읽고, 이것을 다시 우리 음운에 맞춰 윤아(閏阿)로 표기한 것이다. 똑같은 원리로 김염이의 세례명 안아(按阿)는 조선식 표기이고, 중국 표기로는 아납(亞納)이다. 둘 다 성녀 안나(Anna)를 나타낸다.

궁녀 문영인의 세례명 비비한아(非非漢阿)는 성녀 비비아나(Bibiana)이고 중국어 표기는 피피아납(彼彼亞納)이다. 정순매는 앞서 ᄲᅡ을이라고 쓴 조혜의와는 달리, 발발아(發發阿) 또는 발발아(發發娥)를 택했다. 조도애의 세례명 안아다시아(安阿多時阿)는 중국명 아납대서아(亞納大西亞)로 성녀 아나스타시아(Anastasia)에 해당한다.

홍순희의 세례명 루시아(樓始阿)는 중국에서는 로제아(路濟亞)로 쓰고 루치아(Lucia)로 읽는다. 윤운혜는 루치아를 루재(樓哉)로 표기했는데, 중국음 ‘루짜이’로 읽지 않고, ‘루치아’를 빠르게 읽는 느낌으로 적은 것이다. 강경복의 세례명 선아(仙娥)도 루재의 경우와 비슷하다. 수산나(Susanna)를 이렇게 썼다. 중국에서는 소살납( 撒納)으로 쓰고 ‘수사나’로 읽는다. 김연이의 세례명 유아납(柳亞納)은 중국 이름 유리아납(儒里亞納)에서 한 글자는 바꾸고 한 글자를 줄였다. 성녀 율리아나(Juliana)를 가리킨다.

이렇듯 발음이 다른 중국 이름을 우리 한자음에 맞게 바꿀 때는 발음이 편안하고 우아한 의미를 담으려고 애썼다. 바꾸는데도 어느 정도 일정한 규칙이 작동하고 있음을 볼 수가 있다.

「사학징의」 끝에 부록으로 실린 「요화사서소화기(妖畵邪書燒火記)」에 성인 전기에 해당하는 책들이 보인다. 「성녀 간거다」, 「셩녀 더릐ᄉᆞ(聖女 데레사)」, 「셩녀 아기다(聖女 아가다)」, 「셩종도보(聖宗徒譜)」, 「성 안드레아[聖安德肋]」, 「셩녀 아ᄭᅡ다(聖女 아가다)」 등이다.

당시 여성 신자들에게 데레사, 아가다 성녀가 특별한 사랑을 받았다. 성녀 간거다는 「성년광익」에 없는 낯선 이름인데, 사학 매파로 이름이 높았던 정복혜의 세례명 간지대(干之臺)에 해당한다. 간지대는 성녀 칸디다(Candida)로, 같은 이름의 두 성녀가 있다. 성녀 칸디다에 대해서는 간지대 정복혜를 논의하는 별도의 글에서 따로 살피겠다.


동일인명 이(異) 표기와 추정 오류의 예

같은 이름을 다르게 표기한 예는 여럿이 있다. 세례명 시몬(Simon)은 한자로 서만(西滿)으로 적고 ‘시먼’으로 읽는다. 김계완은 중국 표기를 따라 ‘서만’이라 했고, 황일광은 ‘심연(深淵)’으로 표기했다. 조선식 한자음으로 좋은 뜻을 취해 빌어쓴 것이다. 김계완은 김백심(金百深), 김심원(金深遠) 등의 별칭으로도 불렸다. 백심은 그의 자이고, 심원은 시몬을 조선식으로 고쳐 부른 명칭이다. 안토니오(Antonius)의 중국 표기는 원래 안당(安當)이지만, 홍익만은 안당(安堂)으로 고쳐 적어, 마치 별호처럼 보이게 했다.

홍재영의 세례명은 파라(玻羅), 즉 ‘보로’이다. 파라는 중국어 이름 파라대삭(玻羅大削)의 줄인 표현이니, 프로타시오(Protasius) 성인을 가리킨다. 네 글자 중 앞 두 글자만 취해 별호처럼 썼다. 손경욱의 세례명은 액로대삭(厄老大削)인데 앞쪽의 ‘ㅍ’이 묵음으로 처리되어 ‘으로타시아’로 읽는다. 같은 세례명 프로타시오의 이표기이다.

특이한 이름으로 유항검의 노비였던 전주 출신 낙선(樂善)의 세례명인 강량(姜良)이 있다. 두 글자 중 량(良)은 세례명 레오(Leo)에 해당한다. 순교자 정은(鄭溵)의 후손인 정규량(鄭奎良, 1882~1952) 신부의 세례명이 레오여서, 집안의 돌림자인 규자에 본인의 세례명을 얹어 이름을 지은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강량의 강(姜)은 아마도 그의 성씨가 아니었을까 싶다. 강낙선 레오가 실제 이름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현재 통용되는 세례명이 잘못되어 고쳐야 할 것도 있다. 1801년 2월 13일 공초에서 정약용은 “권파서(權巴西) 형제는 아마도 권철신의 아들 권상문을 가리키는 듯하다”고 진술했다. 「추안급국안」 3월 15일 자 주문모의 공초에서는 권상문에 대해 말하면서 “남대문의 권가는 바로 파서략(巴西略)인데 현재 양근에 있습니다”라고 더 분명하게 짚어 말했다.

한편 달레는 「조선천주교회사」에서 복자 권상문(權相問)의 세례명을 세바스티아노(Sebastianus)라고 했다. 세바스티아노의 중국어 표기는 파사제앙(巴斯弟)이다. 파서와는 ‘파(巴)’자만 일치한다. 중국어 표기 파서략(巴西略)은 바실리오(Basilius)이지 세바스티아노가 아니다. 권상문의 세례명은 세바스티아노가 아닌 바실리오가 분명하다. 달레의 기록보다 당시 주문모 신부와 정약용의 언급에 따르는 것이 맞다. 수정해야 한다.

달레의 기록에는 이런 종류의 오류가 적지 않다. 황일광의 세례명도 「사학징의」에서 본인의 입으로 심연(深淵) 즉 시몬이라 했는데, 달레는 알렉시오라 적고 있다. 또 윤운혜의 경우 「사학징의」에는 루치아[樓哉]라 했으나 1811년 신미년 백서에는 마르타(瑪爾大)라 했고, 홍낙민의 세례명도 황사영은 백서에서 바오로라고 했지만, 다블뤼 주교의 기록에는 루카로 나온다.

김이우의 알려진 세례명은 바르나바(Barnaba)로, 이 또한 달레의 기록에 따른 것이다. 「사학징의」에서는 발라소(發羅所)로 표기했다. 바르나바는 중국에서는 파이납백(巴爾納伯)으로 쓰고 ‘빠얼나바’로 읽는다. 정광수의 세례명이기도 하다. 하지만 발라소는 어떻게 읽어도 바르나바로 연결 짓기가 어렵다. 불리사(弗理斯) 또는 불리사(弗利斯), 비리사(斐理斯) 등으로 표기되는 펠릭스(Felix)에 더 가깝다. 「사학징의」에 나오는 윤상득(尹尙得)의 세례명은 불리사(拂利斯)로 썼다. 발라소는 바르나바의 표기가 아니라 팰릭스의 조선식 이표기에 더 가깝다. 재고가 필요하다.

또 「성년광익」에 수록된 성인 성녀의 이름 중에는 다른 사람인데 이름 표기가 같은 예가 아주 많다. 이 경우 의도적으로 글자를 조금 바꿔서 사람을 구분하기도 한다. 이현 안토니오(Antonius)는 안돈(安頓)으로 표기했다. 홍익만은 안당(安堂)이라 하고, 중국에서는 안당(安當)으로 적거나, 안다니(安多尼)로 쓴다. 1월 17일의 주보 성인 안당(安當)은 은수자 안토니오이고, 6월 13일의 성 안다니(安多尼)는 현수자 성 안토니오이다. 베드로의 경우도 사도 베드로는 백다록(伯多祿)으로 적지만, 4월 29일의 주보인 순교 성인 베드로는 백다록(白多祿)으로 달리 표기했다. 앞서 나온 최필제의 세례명은 후자에서 취한 것일 듯하다.

3232235521_PREi4w1r_06c08e4332c8e46acdf0920486af4ebd3b291478.jpg
                                                   정민 베르나르도(한양대 국문학 교수)

0 Comments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61 · 끝) 페르난도 보테로의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향해서’

댓글 0 | 조회 805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61 · 끝)페르난도보테로의‘제2차바티칸공의회를향해서’20세기교회의변화·쇄신향해담대한발걸음내딛는요한23세-페르난도보테로,‘제2차바티칸공의회를향해서’(1… 더보기
Hot

인기 [세계]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60: 피에트로 카노니카의 베네딕토 15세 교종 기념비

댓글 0 | 조회 771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60)피에트로카노니카의‘베네딕토15세교종기념비’국경 · 민족초월해인류애선물한베네딕토15세교종-피에트로카노니카,‘베네딕토15세교종기념비’(1928년),성…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59) 프리드리히 스팀멜의 ‘하느님의 교회를 인도하는 레오 13세’

댓글 0 | 조회 852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59)프리드리히스팀멜의‘하느님의교회를인도하는레오13세’‘보편적인권’이라는새로운길로교회를이끌다-프리드리히스팀멜,‘하느님의교회를인도하는레오13세’(1903…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58) 루크 필즈의 ‘노숙자 임시 수용소 입소 허가를 기다리는 지원자들’

댓글 0 | 조회 752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 (58)루크필즈의‘노숙자임시수용소입소허가를기다리는지원자들’‘새로운사태’산업화의그늘,추위와굶주림에시달리는빈민들-루크필즈,‘노숙자임시수용소입소허가를기다리는…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57) 밀레의 ‘이삭 줍는 여인들’

댓글 0 | 조회 997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57)밀레의‘이삭줍는여인들’목가적풍경이면에담겨진19세기농민들의팍팍한삶-밀레,‘이삭줍는여인들(LesGlaneuses)’,1857년,오르세미술관,프랑스파리…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56) 무명화가의 삽화 ‘제1차 바티칸 공의회를 소집한 비오 9세 교황’

댓글 0 | 조회 809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56)무명화가의삽화‘제1차바티칸공의회를소집한비오9세교황’세속권력은잃고교황의영적권위를얻은공의회-칼벤징거저,「1873년비오9세교황에관해서」에나오는‘1869…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55) 프란체스코 하예즈의 ‘입맞춤’

댓글 0 | 조회 1,107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55)프란체스코하예즈의‘입맞춤’‘작별키스’에담긴숨은뜻은19세기이탈리아통일의지-프란체스코하예즈,‘키스’(1859년),브레라피나코테크소장,이탈리아밀라노.이…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54) 프란체스코 포데스티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 교의 선포’

댓글 0 | 조회 877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54) 프란체스코포데스티의‘복되신동정마리아의원죄없으신잉태교의선포’비오9세교황‘원죄없이잉태되신성모교리’반포하다-프란체스코포데스티,‘복되신동정마리아의원죄없…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53) 필립 자크 반 브리의 ‘로마 공회장을 방문하는 그레고리오 16세’

댓글 0 | 조회 815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53) 필립자크반브리의‘로마공회장을방문하는그레고리오16세’로마황제개선문아래극빈촌을찾은교황-필립자크반브리,‘로마공회장을방문하는그레고리오16세’(1832년…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52) 자크 루이 다비드의 ‘나폴레옹의 대관식’

댓글 0 | 조회 882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52) 자크루이다비드의‘나폴레옹의대관식’대관식에서직접왕관을쓰는나폴레옹,교황은허수아비일뿐-자크루이다비드,‘나폴레옹의대관식’(1805~1807년),프랑스루…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51) 조셉 셀레스틴 프랑수아의 ‘1801년의 종교협약 비유’

댓글 0 | 조회 703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51)조셉셀레스틴프랑수아의‘1801년의종교협약비유’프랑스혁명정부의기세에밀려불리한조약을맺는교황청-조셉셀레스틴프랑수아,‘1801년의종교협약비유(Allego…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50) 펠리체 자니의 ‘연맹 축제를 위해 성 베드로 광장에 차려진 조국의 제단’

댓글 0 | 조회 726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50)펠리체자니의‘연맹축제를위해성베드로광장에차려진조국의제단’로마까지삼켜버린프랑스혁명의불길-펠리체자니,‘연맹축제를위해성베드로광장에차려진조국의제단’,179…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49) 자크 루이 다비드의 ‘호라티우스 형제의 맹세’

댓글 0 | 조회 845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장면](49)자크루이다비드의‘호라티우스형제의맹세’프랑스혁명의폭풍전야에그린로마영웅사,신고전주의를열다-자크루이다비드,‘호라티우스형제의맹세’(1784년),유화,루브르…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48) 자코모 조볼리의 ‘성 빈센트 드 폴의 설교’

댓글 0 | 조회 898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48)자코모조볼리의‘성빈센트드폴의설교’사랑의혁명가,소외된이들에게십자가의빛을비추다-자코모조볼리,‘성빈센트드폴의설교’(1737),룬가라의코르시니궁(Pala… 더보기
Hot

인기 [명작으로 보는 교회사 한 장면] (47) 바치챠의 ‘예수 이름의 승리’

댓글 0 | 조회 842 | 추천 0
[명작으로보는교회사한 장면](47)바치챠의‘예수이름의승리’예수님이비추는찬란한황금빛이모두에게-바치챠,‘예수이름의승리’(1685년),예수성당내중앙본당천장,이탈리아로마.트렌토공의회는여러… 더보기
Category
글이 없습니다.
State
  • 현재 접속자 24 명
  • 오늘 방문자 1,878 명
  • 어제 방문자 1,882 명
  • 최대 방문자 5,379 명
  • 전체 방문자 1,662,384 명
  • 전체 게시물 1,336 개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